Page 51 고등학교 디자인 일반 교과서
P. 51
디자인 더 깊이 국가별 선호 컬러
컬러는 브랜드에 대한 첫인상과 이미지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컬러의 선택
은 국가와 지역의 문화적·역사적 배경과 관계가 있다. 각 국가마다 컬러가 담고 있는 의
미가 다르고 제품별로 사용하지 않는 특정 컬러도 있을 수 있다. 제품을 전 세계 시장에서
판매하기 위해서는 디자인 대상이 되는 제품 카테고리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컬러의 의미
를 잘 파악해야 한다.
ೠҴ
오방색(백, 적, 청, 황, 흑)은 음양오행
사상에 기반을 두어 한국인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한국의 전통
색상이다.
오방색은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브랜
드나 전통 기념품, 건축물에 주로 사용
되고 있다.
ఠః
빨간색, 흰색, 청록색은 예술, 의례, 종
교 및 민간 신앙과 관련된 터키 문화
의 중요한 색이다.
청록색은 이슬람교 국가인 터키의 신
념 체계 및 정통에 중요한 역할을 하
며 국가 이미지를 대표하는 색이다.
Ҵ
중국 하면 가장 먼저 빨간색을 떠올리게 되고, ‘중국
홍’이라는 말이 하나의 단어로 사용될 정도로 중국인
은 빨간색을 가장 선호해 왔다. 베이징에 있는 자금성
이 바로 ‘중국 홍’을 재현한 대표적 건축물로 문과 벽
이 빨간색이며, 지붕은 금색 기와로 되어 있다.
۞दই
러시아인은 전통 모티브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전통적으로
빨간색, 금색, 파란색, 흰색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최근 들어
서는 따뜻함을 상징하는 노란색, 친환경적인 녹색, 부드러운 자
주색, 세련된 검은색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Ҵ
미국인들이 과거부터 현재까지 가장 선호하는 색은 파란색이다.
미국에서는 비즈니스 정장 등의 의류부터 실내 장식에 이르기
까지 파란색이 폭넓게 활용되고 있으며, 주방용품이나 스키 등
의 아웃도어 제품에도 기존 파란색과 톤이 조금씩 다른 새로운
색을 도입하고 있다.
5. 디자인과 문화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