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8 고등학교 디자인 일반 교과서
P. 48
인간은 지역의 기후와 지형, 사상과 종교, 철학과 미의식 등 각 문화를 반영하여
다양한 주택 양식을 발전시켰다. 알래스카의 이글루에서부터 한국의 전통 한옥, 열
대 지방의 오두막, 유럽의 주택과 교회에 이르기까지 모든 주거 양식과 디자인은 특
정 집단의 고유 문화를 반영한 결과이다.
ೞ ೞ٣٘(Zaha Hadid/1950
최근에는 건축이 거주민, 지역 사회가 지닌 고유한 아이덴티티를 반영하는 아이콘 ~2016/이라크→영국) زޙ ٣
ੋ ۄ DDP - 자하 하디드는 이
으로 변모하고 있다. 유명한 건축가가 세계 곳곳에 개인의 독특한 아이덴티티를 반 라크에서 태어나 부드러운 곡선으로
이루어진 모래 언덕을 보면서 성장
영하여 디자인한 건물을 선보이기도 한다.
했고 그것은 그녀의 작품에 유연한
디자인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기술과 형식이 함께 발전하며 이러한 변화 속에서 자유 곡선으로 표현되었다.
새로운 디자인 양식이 탄생하게 된다. 즉, 디자인은 특정한 시대와 지역을 대표하
는 문화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디자인은 문화에 따라 지속적
으로 생성과 소멸을 거듭하는 점에서 문화와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는 상호 보완적 관계에 있다.
자연환경과 지역 문화에 따라 발달한 각 지역의 주거
ইܻ ా оৠ - 뜨거운 태양열로 인한 더위를 막기 위해 흙으로 벽을 ঌېझ Ӗܖ - 주위에서 가장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인 얼음으로 블
바르고 짚을 얹은 가옥 록을 만들어 쌓은 동굴 형태의 가옥
ೠҴ ా ೠৠ - 자연과의 조화를 바탕으로 주변의 나무와 흙 등을 다듬어 ਬۣ ਗ ఖ - 12세기 이전 목조 건물이 주를 이루던 시기에 독일을 시작
쾌적하고 아름답게 설계한 한옥 으로 유럽 전역에서 대체가 이루어진 벽돌 주택
46 Ⅰ . 디자인의 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