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9 고등학교 디자인 일반 교과서
P. 49
2 디자인의 변화
디자인은 왜 변화할까?
인류는 과거의 물질 중심의 산업 사회와 지식과 정보 중심의 후기 산업 사회를 거
쳐 인간과 인간 그리고 사물이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사회로 나아가고 있
다. 디자인의 개념과 의미는 점차 변화·확장되어 가고 있으며, 디자인에 관련된 기
술, 즉 디자인 행위에 관한 수단과 매체도 함께 변화하고 있다.
디자인이 새롭게 탄생하는 데 있어서도 그 시대의 기술이 큰 몫을 차지한다. 디자
인 혁신 기술은 재료와 성형 방법, 매체의 변화라고 할 수 있다. 목재는 자르고 결합
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다가 구부리는 것이 가능해지면서 디자인의 혁신적인 변화를
이끌어 냈다. 또한, 합판 성형의 기술이 발전하여 목재를 자유자재로 구부려 유기적
인 형태로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재료 기술, 성형 기술은 미래에 더욱 첨단화될 것이며 인간의 창의적인 생
각과 더불어 더욱 흥미로운 디자인과 효율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발전해 나갈 것
이다. 과거와 달리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마음대로 형태를 만들기도 하고 제품의 보
관과 이동 및 운송 과정에서 무게와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더 가벼운 재료와 가공 ೞৃ ష֎(Michael Thonet/
1796~1871/독일→오스트리아)는 너
기술을 탐색한다. 도밤나무를 스팀으로 가열한 뒤 구
부려 가구의 소재로 사용하였다.
디지털 기술이 더욱 발전하고 첨단의 재료가 개발되어 제품은 소형화(small), 박
형화(slim), 경량화(light weight)될 것이며, 실재하지 않는 가상의 인공물, 무형의
디자인이 나타나게 될 것이다.
1988년 첫 이동 통신에 사용된 휴대 전화부터 내장형 카메라 폰의 단계를 거쳐, 현재 디지털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까지 지속적
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5. 디자인과 문화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