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7 고등학교 디자인 일반 교과서
P. 47










1 문화에 따른 디자인의 차이

디자인과 문화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디자인은 인간이 만들어 낸 기술, 사회, 가치, 문화에 따라 독특한 방식으로 표현 하나 더 알기
된다. 따라서 디자인은 문화를 담아내는 그릇과 같은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18세 Ӗ۽ஸۄ੉ઁ੉࣌ glocalization
세계화를 의미하는 글로벌라이제이
기 말 미국의 셰이커 가구는 근대적 기술과 발명을 통하여 얻어진 모든 편리함과 장 션(globalization)과 지역화를 의미
하는 로컬라이제이션(localization)의
식적인 측면을 거부하고, 청교도적 신념에 따라 검소하고 순수한 공동체 문화의 이 합성어다. 글로컬라이제이션은 소니
념을 간결한 형태와 구조로 디자인하였다. 프랑스 파리에 퐁피두 센터는 혁신적인 (SONY)의 창업자 모리타 아키오가
사용한 신조어다. 기업 제품들의 글
디자인을 통하여 새로운 문화를 창조해 낸 대표적인 사례이다. 로벌 진출을 위해 제품 개발이나 브
랜드 진출에 있어 세계화와 현지화
최근 정보화와 국제 교류 및 다국적 기업의 활동으로 거의 모든 도시에서 지역 문 를 동시에 이뤄 시너지 효과를 극대
화하려는 마케팅 전략이다. 기업 경
화보다 전 세계적으로 글로벌 문화가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도시의 거리에는 다국 영 전략의 방향이나 기본 가치관은
적 기업들의 간판이 눈에 띄고 백화점 중심부는 세계 유수의 여러 명품 브랜드가 자 동일하게 운영하되, 제품의 성능이
나 마케팅 방식 그리고 조직 운영
리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자국의 아이덴티티를 강화하고, 차별화된 문화를 계승, 발 등은 현지 실정에 맞게 수정함으로
써 경쟁력 강화에 노력하는 것이다.
전시키려는 움직임도 다양해지고 있다.

한국은 역사적으로 일제 강점기와 전쟁을 겪으면서 전통 문화의 단절을 경험하였
고, 1990년대 경제적 안정기를 맞아 본격적으로 전통 문화에 대한 연구와 탐색을

시도하고 있다. 전통 문화 유산의 복원과 더불어 전통의 현대적 계승에 관심을 기
울이고 있다. 전통 가구를 현대적 감성에 맞도록 재구성하고, 서구식 부엌에 한국의
좌식 마루를 도입하여 한국의 전통과 현대적 생활 방식을 결합한 사례도 있다. 이러

한 시도는 디자인과 문화가 어느 한쪽에서 일방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서로
상호 작용을 하면서 새로운 생활 문화를 창조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서양식 부엌 가구에 한국의 전통 좌
식 마루를 도입한 키친바흐























࣓੉ழ оҳࢎ੄ ؚ݃௼ ప੉࠶ – 유럽 디자인의 영향을 받지 않고 청도교적 풍토를 바탕 ಯೖف ࣃఠ – 내부로 감춰져 있어야 할 구조체를 노출시킴으
으로 디자인한 가구이다. 가구의 본래 목적을 지키면서 불필요한 장식은 배제하여 간소한 것 로써 건물이 하나의 기계처럼 보인다. 혁신적인 건축물을 통해 새
이 특징이다. 로운 문화를 창조해 낸 사례이다.

5. 디자인과 문화 45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