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6 고등학교 디자인 일반 교과서
P. 66









그리스 문명과 예술 활동 하나 더 알기
고대 건축의 특성
그리스의 예술은 이집트 미술의 평면
• 건축물의 기하학적인 비례의 원리
성에서 벗어나 공간감을 표현하였으며, • 강력한 통치 국가 과시
• 형태적인 명료함과 수적 합리성
사실적인 묘사를 통하여 인체의 아름다
파르테논 신전
움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파르테논 신전은 기둥이 줄지어 있
는 열주 형식이며 그 위에 지붕을
기원전 1세기부터 4세기까지는 로마인
덮었다. 신전이나 공회당에 누구나
에 의하여 유리 가공 기술이 발달하면서 들어올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문을
달지 않고 건축하였다.
그 전까지는 귀중품에 속했던 유리가 그 파르테논 신전의 외관은 도리아 양
식으로, 꾸밈이 적고 기둥의 받침이
릇 등 생활용품으로 사용되었다. 창유리 ۄয়௑җ Ӓ੄ ইٜٜ(대리석/240cm/B.C. 175~ 없는 것이 특징이다.
150년경/이탈리아/바티칸 박물관) - 1506년 로마에
의 발견은 또한 유럽 건축의 기본이 된 서 발굴되었을 때 현장에서 지켜보던 미켈란젤로가
‘예술의 기적’이라고 외칠 만큼 조각의 섬세함과 아
아치 구조의 기술적 발전을 촉진하였다. 름다움이 뛰어났다.























౵ܰప֤ न੹(69.5×30.9m/B.C. 448~442/그리스 아테네) - 도리아 양식의 거대한 기둥이 간결하면서도 장중한 느낌을 준다.



파르테논 신전과 부석사 무량수전은 무엇이 닮았을까?

부석사 무량수전은 정면이 다섯 칸, 측면
이 세 칸으로 이루어져 있다. 건물 정면의
높이를 1이라고 했을 때 가로의 길이가 약
1.618배로 황금비를 찾아볼 수 있으며, 기둥
은 양 끝보다 중간이 볼록한 배흘림 양식을
갖추고 있다.
무량수전의 기둥은 그리스 파르테논 신전
의 기둥과 그 형태가 닮았다.


파르테논 신전, 부석사 무량수전과 같이
황금 비율을 가진 건축물과 조형물을 찾
아보자.
৔઱ ࠗࢳࢎ ޖ۝ࣻ੹(고려 시대/국보 제18호/경상북도 영주시)


64 Ⅱ. 디자인의 역사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