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7 고등학교 디자인 일반 교과서
P. 67
2 중세 사회와 조형 예술
중세 시대 조형 활동의 특징은 무엇일까?
중세 시대는 서로마 제국이 멸망한 5세기부터 르네상스가 일어난 15세기까지 지 하나 더 알기
속되었다. 중세 시대의 모든 생활의 중심에는 성당이 있었으며, 신을 중심으로 한 조 중세 시대의 대표적 성당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형 예술이 발달하였다. 이후 르네상스를 기점으로 억압된 인간성을 회복하고, 고대 •독일 쾰른 대성당
문화를 토대로 인간 중심의 새로운 조형 예술을 꽃피우려는 활동이 시작되었다. 중세 서양의 발전
기독교 정착 → 동방 교역 → 이슬람
교류 → 인쇄술 발명 → 르네상스
1 종교적 사상과 조형 예술
중세 시대는 기독교가 사회의 지배적 이념이었으며, 예술 활동 역시 교회를 중심
으로 이루어졌다. 교회와 귀족은 기독교 사상을 사람들에게 널리 알리기 위하여 노
력하였는데, 당시 유럽 인 대부분은 문맹이어서 성서의 내용을 그림이나 조각을 통
하여 전달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4세기 이전부터 시작된 비잔틴 예술은 건물 내 로마네스크(romanesque)
고딕 미술에 앞서 10~12세기에 이
부를 모자이크로 장식하여 종교적 사상을 표현하였고,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에서는 탈리아 북부와 프랑스에서 발생하
벽화, 천장이 높고 창문이 넓은 고딕 건축 양식에서는 스테인드글라스로 표현하였다. 여 서유럽에서 발달한 미술 양식이
다. 두꺼운 벽으로 장중한 느낌을
성당 건축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긴 것은 신이 지배하는 사회에 대한 ‘신의 의지’를 주고, 아치와 수평을 강조한 교회
건축에 많이 적용되었다.
표현하는 것이었다. 도시 한가운데 높이 솟은 첨탑은 신의 의지를 보이기 위하여 설
계한 것이었고 조각, 회화, 성물, 장식, 기도서 등 다양한 표현 방법을 사용하여 성서 스테인드글라스(stained glass)
색유리를 기하학적이거나 장식적인
의 내용을 시각화하여 표현하였다. 결국 중세 시대의 성당은 장차 다가올 르네상스 형태 또는 회화적 도안으로 자른 후
납으로 용접하여 만든 창유리를 말
를 활짝 꽃피울 조각, 회화 등의 장르를 충분히 성숙시키는 데 이바지하였다. 한다.
ةੌ ܲ ࢿ झపੋ٘Ӗۄझ(유리/1880년경/독일) - 아기 예수 탄생에 대한 য়߽য(모자이크/504년경/산타폴리나레 누오보 성당/이탈리아) - 예수가
내용을 담고 있다. 물고기 2마리와 보리떡 5개로 5,000명을 먹이고도 12광주리가 남았다는 이야기
를 표현한 작품이다.
1. 근대 이전의 디자인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