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1
P. 161
2 자재 관리
자재 관리는 생산에 필요한 자재의 확보, 보관, 이동, 활용의 전반적 과정을 효율
적으로 관리하여 생산 계획에 따른 생산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활동을 말한다.
자재 관리의 목적은 적정량만큼, 필요한 때, 필요한 장소로, 좋은 품질의 자재를 공 자재
•넓은 의미: 생산 목적으로 보유
급하는 것이다. 하는 원자재, 부자재, 소모품, 비
자재 관리 활동에는 자재 소요 계획, 창고 관리, 재고 관리 등이 있다. 품, 저장품 등을 포함
•좁은 의미: 원료, 재료, 부분품
등으로 한정
1 자재 소요 계획
자재 소요 계획 (MRP, 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은 제품을 구성하는 수많은 ERP TIP
자재의 분류
자재 요소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재료, 부품, 반제품 등 자재의 소요
① 원재료: 제품의 제조에 필요한
량과 조달 시기를 관리하여 생산 계획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자재를 관리 구성 물질
•원료: 가공을 통하여 형태나
하는 기법을 말한다. 질이 변화
•재료: 가공 후에도 원래의 성
MRP 시스템은 주 생산 계획(MPS, Master Production Schedule), 자재 명세서 질이 보존
② 부품: 제품의 일부 기능을 담당
(BOM, Bill of Materials), 재고 기록철(IRF, Inventory Record File)의 세 가지 입력 요
하는 구성 부분으로, 재료의 가
소를 가진다. 공을 통하여 제작
③ 소모성 자재: 생산에 직접 소요
되는 원ㆍ부재료를 제외한 간접
적인 소요 자재
수요 예측 고객 주문
•가위, 필기구 등의 사무용품
•빗자루, 청소기 등의 청소용품
주 생산 계획 •공구, 기계 부품 등
제품 설계 (MPS) 재고 입출고 ④ 재공품(Work in Process): 공
변경 사항 사항 정에서 가공 중인 자재
반제품: 재공품이지만 판매가
가능한 제품
⑤ 제품: 제조 활동이 완료되어 판
자재 명세서 MRP 시스템 재고 기록철 매가 가능한 상태의 완성품
(BOM) (IRF)
ERP TIP
자재 관리의 기능
자체 발주 발주 조정 자재 계획, 구매 관리, 조달, 검수,
창고 관리, 재고 관리, 폐품 및 불
MRP 시스템의 입력 요소 량품의 처리, 자재의 표준화 등
(1) 주 생산 계획
주 생산 계획 (MPS, Master Production Schedule)은 각 제품의 생산에 필요한 부품
이나 원자재의 소요량 및 소요 시기 등을 결정하는 근거가 되는 것으로, 총괄 생산 계
획을 수립한 후 구체적으로 생산할 특정 제품의 생산 일정을 수량과 시기로 표현한
계획이다.
3. 구매/자재 관리 159
기업자원통합관리-본문3(142-205)0515.indd 159 2017-07-17 오전 11:5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