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3
P. 163









(3) 재고 기록철

재고 기록철 (IRF, Inventory Records File)은 자재 관리 대상 품목의 입출고 내역, 재고
보유 품목, 발주 품목, 생산 품목에 관한 사항을 기록하는 파일로, 생산 예정 품목의

순소요량을 파악하는 데 이용된다.


2 창고 관리
ERP TIP
창고는 원재료, 부품, 반제품, 제품 등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장소이다. 따라서 창
창고 저장의 일반 원칙
고 관리는 창고에 보관한 자재의 입출고, 보관, 운반 등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관리 통 •선입 선출의 원칙
•저장 위치 표시의 원칙
제함으로써 원활하고 신속한 생산, 구매, 판매, 물류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리 •분류 저장의 원칙
•품질 보존의 원칙
하는 활동을 말한다.

ERP 기출 문제
 창고 관리 시 유의 사향
다음 [보기]의 자료를 참고하여 생
산에 필요한 A 자재의 순소요량을
•입고 순으로 출고가 가능하도록 자재를 적재 산출한 결과는?
선입 선출 기준을 • 유효일이 있는 가변성 자재는 유효 일자가 빠른 순
적용한 출고 [보기]
으로 출고
A 자재 관련 자료
•총소요량=200개
•자재의 변질 및 분실 예방책 수립 •현 재고량=100개
•자재를 용도별, 재질별로 분류 및 정리 •현 재고량 중에는 다른 제품
• 자재별로 저장 위치를 구분하고, 위치 카드 등으로 생산에 출고하기로 확정된 A
안전하고 효율적인 보관 자재 50개가 포함되어 있음.
관리
•입고 예정 재고량=70개
• 장기 보관 자재는 정기적으로 정비하고, 위험물은
•안전 재고량=20개
별도 관리
① 100개 ② 120개
• 출고가 잦은 자재는 출고장 또는 사용처에 가까운 ③ 150개 ④ 170개
장소에 보관
• 자재의 적재 방식을 개선하고, 중량 자재는 바닥에
창고 공간의 효율성 확보와 보관
신속한 입출고 환경 조성 • 운반 수단과 방법을 개선하고, 파레트 사용 등으로
시간과 경비 절감
• 운반 통로와 운반 거리를 단축시켜 적재 횟수 및 시
간 단축





ERP 충전소 순소요량 계산 방법


순소요량 = 총소요량 - 현 재고량 - 입고 예정 재고량 + 할당된 재고량 + 안전 재고량

① 총소요량: 주 생산 일정에서 계획된 제품의 생산 일자와 생산량
② 현 재고량: 기말 재고량
③ 입고 예정 재고량: 과거에 이미 발주되어 앞으로 입고 예정인 품목의 수량
④ 할당된 재고량: 현 재고량에 포함되어 있지만 먼저 생산 계획된 제품에 투입하기로 확정된 품목의 수량
⑤ 안전 재고량: 불확실한 수요에 대비하여 품목별로 항상 보유하는 재고 수량



3. 구매/자재 관리 161






기업자원통합관리-본문3(142-205)0515.indd 161 2017-07-17 오후 6:59:45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