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2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P. 112









노화 적응 유형 인지적 변화 | 노년기에는 뇌의 기능도 점차 퇴화하기 때문에 기억력과 같은 지적 능
• 분노형: 자신의 과거를 실패한 것으
로 생각하고 그 원인을 타인에게 돌 력은 감소하는 반면 삶의 경험이 축적되어 이전에 비해 지혜로워진다.
리며 타협을 거부하는 유형
• 성숙형: 자신의 삶이 성공적이었다고
생각하며, 나이 들어감을 받아들여 노인이 되어 감퇴하는 인지적 능력 노인이 되어 향상되는 인지적 능력
만족하는 유형
• 자학형: 인생의 목표를 달성하지 못 기억력, 학습 능력, 사고 능력, 공간 지각 능력, 삶에 대한 통찰력, 지혜, 공감적 이해 능력
하고 세월을 보냈다고 후회하며 자신 주의 집중력
을 질책하는 유형
• 무장형: 노화에 따른 정신적·신체적
저는 이제 기다려 보게.
변화를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활 너무 성급하게
내가 뭘 어떻게 하죠?
동하는 유형 결정하진 말고…….
찾으려고 했지?
• 은둔형: 생계의 책임에서 벗어났다고
생각하며 대인 관계와 사회적 책임에
서 멀어지려고 하는 유형













그림 Ⅵ - 6 노년기의 인지적 발달 특성


정서적·사회적 변화 | 노인들은 노화로 인한 신체적 변화 못지않게 정서적·사회적으
할아버지, 할머니의 도움으로 문제 상
로도 많은 변화를 경험한다. 여가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을 개발하지 못한
황을 해결한 경험이 있으면 이야기해
보자. 채 은퇴를 한 노인들은 사회적 역할 및 지위의 상실에 따른 강한 고독감과 무료함, 소외
감 등의 정서적 변화를 겪게 된다. 사회에서의 지위 변화, 세대 간의 갈등, 배우자의 사망

등으로 사회적 교류가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므로, 가족 관계를 재정립하거나 소속의
욕구를 실현할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정서적 변화 사회적 변화

친숙한 사람과 사물에 대한 애 은퇴로 사회적 역할이 감소하
착심이 커지고, 주변 사람에게 고, 자녀의 독립으로 가장이나
의존하려는 경향이 강해지는 부모로서 해야 할 역할이 축소
한편, 자신에게 익숙한 태도와 된다. 배우자나 주변 사람들의
방법을 고수하려는 경직성도 죽음으로 이별을 경험하게 된다.
증가한다. 새로운 사람과의 관계를 형성
일상생활에서 당면한 문제에 하기보다 편하고 잘 아는 사람
신중하게 반응하며 과거 지향 과 시간을 보내려는 경향성을
적인 경향을 보인다. 보인다.
호르몬의 변화로 성 역할의 특
성들이 약화한다.

그림 Ⅵ - 7 노년기 정서적·사회적 발달 특성
※ 출처: ‘장수상회’, 2015.
110 VI . 가족생활 설계와 자립적인 노후 생활 BIG 자립을 위해서는 가족생활 설계를 어떻게 해야 할까?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