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7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P. 147
2 우주 항공 기술을 발전시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대기권이나 우주 공간을 비행하며 사람이나 물건을 수송하는 항공기, 로켓, 우주 왕 여기서 배울 내용
복선이나 인공위성, 우주 정거장 등과 관련된 모든 기술을 우주 항공 기술(ST: Space • 우주 항공 기술 분야의 발전 방안
Technology)이라고 한다. 우주 항공 기술은 부가 가치와 기술 수준이 높아 다른 산업의
발전을 이끄는 국가 핵심 산업 중 하나이다. Link & Think
우리나라의 첨단 우주 항공 기술 | 우리나라는 1996년 우주 개발 계획을 처음 수립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http://www.kari.re.kr/
이후 기계, 전자 등 주변 기술에 힘입어 빠른 시간에 우주 항공 기술의 수준을 높일 수 있
었다. 하지만 아직 선진국에 비해 경제적 투자가 미미하고 관련 기술 개발 연구 인력도
부족하므로, 이에 대한 투자와 지원을 늘릴 필요가 있다.
항공 분야
우리나라는 태양광과 2차 전지를 사용하여 일반 항공기가 도달할 수 없는 최고 비행 고도
18.5km의 성층권 비행에 성공하였다. 이 고고도 장기 체공 전기 동력 무인기는 성층권에서
정밀 지상 관측, 저궤도 인공위성을 보완하는 통신 중계 임무 등을 수행할 예정이다. 또한
유·무인 혼용 항공기, 드론 충돌 회피 시스템 등 수준 높은 항공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고고도 전기 동력 무인기
발사체 분야
우리나라는 과학 로켓인 KSR -Ⅰ, Ⅱ, Ⅲ을 개발하는 등 우주 발사체 개발을 위한 기술적 기반을
다진 후,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 발사체인 ‘나로호’(KSLV-I)를 개발하여 2013년 1
월 100kg급의 소형 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투입하는 데 성공하였다. 이로써 국내 발사체 기술 수
준은 선진국 대비 83% 정도가 되었다.
위성 분야
우리나라는 자주적인 위성 정보를 얻기 위해 고해상도 광학 관측과 레
이더, 적외선 관측이 가능한 다목적 실용 위성 시리즈와 독자적인 기
상 및 해양 관측, 통신 중계가 가능한 정지 궤도 위성을 개발·운용하
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 6~7위권인 인공위성 개발 기술력을 가지
고 있다.)
다목적 실용 위성(아리랑 위성)
그림 Ⅶ-42 우리나라 우주 항공 기술의 수준 ※ 출처: 한국항공우주연구원(http://www.Kari/re.kr/)
우리나라는 2020년까지 항공 산업은 매출 규모를 200억 달러로 끌어올리고, 우주 산 2차 전지
화학 에너지로 바꾸어 모아 놓은 전기
업은 한국형 발사체를 개발하여 자력으로 발사 능력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에너지를 필요한 때에 전기로 재생하는
더 나아가 우주 항공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 달과 화성 착륙선, 소행성 탐사선 등 전지로, 충전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의 개발을 장기 목표로 삼고 있다.
우주 항공 기술은 발전 자체에도 큰 의미가 있지만, 고해상도 위성 영상이나 초정밀
GPS 보정 시스템을 통한 정밀 위치 정보 기술 등이 확보되면서 얻을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매우 크다. 국가 안전 보장, 국제적인 재해·재난 탐지와 피해 분석 등 위성을 이
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05. 첨단 수송 기술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