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8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P. 148









마하(Mach) 우주 항공 기술의 발달과 활용 | 항공 분야에서는 엔진의 성능이 강해지고 로켓 기술과
비행기나 로켓의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마하 1은 초속 340m에 해당한다. 융합하면서 음속의 5배(마하 5) 이상의 속도로 지구촌 어디든지 2시간 이내에 도달할 수
있는 극초음속 비행체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새로운 서비스로서 항공 산업이 활용
틸트로터 무인기
되기도 하는데, 한 회사에서는 항공기의 특별한 운항 방법을 통해 고객들에게 무중력 상
태를 체험할 수 있는 서비스를 내놓기도 하였다.





방향 전환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어 헬
리콥터처럼 수직 이착륙을 하고 이륙 후
에는 로터의 방향을 앞으로 기울여 일반
비행기처럼 빨리 날아갈 수 있게 만든
비행기이다. 우리나라는 세계 두 번째로
개발에 성공하였다.
※ 출처: 한국항공우주연구원(http://www.
그림 Ⅶ-43 극초음속 비행체(예상도) 그림 Ⅶ-44 무중력 체험 서비스 항공기
Kari/re.kr/)
현재 운항하는 비행기는 모두 이륙할 때 모습 그대로 착륙할 수 있지만, 우주로 나가
화물 분리
1단 로켓 분리 는 비행체는 아직 이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로켓은 우주선 추진체를 발사 때마다
플립 기동
바다에 버릴 수밖에 없었는데, 2016년 4월 한 민간 우주 회사가 1차 로켓 회수에 성공하

상승 회수 점화 여 로켓 발사에 사용되는 비용을 대폭 낮출 수 있게 되었다.
인공위성은 방송·통신, 기상·해양 관측 등 다양한 영역뿐 아니라 우주의 비밀을 밝히

수직 착륙 는 과학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우리별, 무궁화, 아리랑, 나로 과학위성 등
발사
의 인공위성을 운용하고 있다.
그림 Ⅶ-45 1차 로켓 회수 과정
우주 정거장은 지구 궤도에 건설하는 대형

구조물로, 사람이 생활하면서 우주 실험이나
우주 관측을 하는 곳이다. 또한 본격적인 우

주 개발과 탐사에 필요한 전초 기지이다.
지구에서 사람이나 기자재를 우주 왕복선
으로 옮긴 뒤 우주 정거장에서 다시 정비하여

본격적인 우주 탐사를 한다. 그림 Ⅶ-46 국제 우주 정거장


기 술
공감 모둠별로 우주 항공 기술 분야에서 우리나라와 세계의 기술 수준 차이를 구체적인 사례를 찾아 설명해 보자.


구분 우리나라 세계 UP
항공 분야
조사한 사례를 토대로 우리나라 우주 항
발사체 분야 공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토
의해 보자.
위성 분야
기타



146 VII. 첨단 기술의 세계 BIG 첨단 기술은 산업과 우리 생활을 어떻게 변화시킬까?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