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2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P. 152
전파 식별(RFID: Radio Frequency 각종 센싱 기술과 전파 식별(RFID),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와 같은 네트
IDentification)
전파 신호를 통해 비접촉식으로 사물에 워크 기술이 웨어러블 기기나 스마트폰, 가전제품, 건물을 포함한 모든 사물과 결합하고,
부착된 얇은 평면 형태의 태그를 식별하
가상 현실과 휘어지는 화면, 홀로그램 등 디스플레이 기법이 다양해져 스마트 기기의 응용
여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가능성이 더욱 넓어지고 있다.
구분 와이파이 블루투스 z-웨이브 전파 식별
120~140kHz(LFID)
주파수 대역 2.4GHz, 5GHz 2.4GHz 868~929kHz
13.56MHz(HFID, NFC)
~10cm(LFID)
전파 도달 거리 실내 100m 1~100m 이상 100m 이상(안정적)
10cm~1m(HFID)
인터넷 연결 주변 기기(헤드셋, 오디오 등) 홈네트워킹, 빌딩 자동화 개인 식별(신분증), 생산 이력
관리, 하이패스
주요 응용 분야
그림 Ⅶ-49 사물 인터넷의 기반이 되는 여러 가지 정보 통신 기술 ※ 출처: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https://spri.kr/)
온도 조절기 가정용 음성 인식기
집 안 온도를 설정하는 장치로, 사 목소리로 거실의 불을 켜거나 텔레
용할수록 사용자의 설정 온도를 학 비전과 오디오의 음량을 조절하고
습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장 현관문을 열어 줄 수 있으며, 온라인
치는 보일러와 에어컨의 제어기라 쇼핑과 주문을 할 수 있게 해 준다.
고 할 수 있다.
헬스케어 서비스 가정용 로봇
스마트 복약기를 통해서 약 먹는 시 가족들에 대해서 학습하여 목소리
간과 약 종류를 확인하고, 시간과 와 생김새로 인상의 특징을 구분하
날씨에 맞는 운동 추천과 건강 관 고 대화를 통해서 상호 교감하는
리, 통증 관리 등이 가능하다. 능력을 가지고 있다.
그림 Ⅶ-50 사물 인터넷의 활용 ※ 출처: 미래창조과학부 웹진(http://www.msip.go.kr/)
기술 이야기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농장(smart farm) 여행하면서 비닐하우스를
관리한다.
스마트 농장은 사물 인터넷을 비닐하우스·축사·과수원 등에 접 센서
관수
목해 원격·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 환경을 제어할 수 있는 농장 환풍기
CCTV
이다.
작물 생육 정보와 환경 정보 등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언 식사하면서
보일러
제 어디서나 작물과 가축의 생육 환경을 점검하고, 알맞은 시기에 처방하 온도/습도
자동 센서
여 노동력·에너지·양분 등을 종전보다 덜 투입하고도 농산물의 생산성 개폐기
과 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 출처: <중앙일보>, 2015.11.9.
150 VII. 첨단 기술의 세계 BIG 첨단 기술은 산업과 우리 생활을 어떻게 변화시킬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