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5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P. 195









특허 출원, 권리화 과정 | 자신의 아이디어나 발명에 대한 권리를 인정받기 위해서는 결 Link & Think
특허로
과물을 공개하기 전에 특허 출원을 하여 특허권을 취득하여야 한다.
http://www.patent.go.kr/
특허 출원은 자신의 발명을 공개하는 대가로 독점권을 갖기 위해 일정한 양식 및 절차
에 따라 특허청에 특허권을 신청하는 행위이다. 우리나라는 가장 먼저 출원한 사람에게 배타적 권리
그 권리를 행사함에 있어서 타인의 의견
만 특허를 주는 선출원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므로, 새로운 것을 발명하면 우선 제품에 대 을 고려할 필요가 없는 정당한 권리를
한 특허권을 신속하게 확보하여야 한다. 말한다.
특허 출원에서 권리를 획득하기까지의 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까다로워 학생이면 1년

에 1건에 한해 무료 변리를 받을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어 있다.
1 선행 기술 자료 검색 자신의 아이디어나 발명품이 이미 특허로 출원되어 있는지 특허 특허 출원에 필요한 서류

정보를 검색하여 확인한다. •출원서: 출원인의 이름, 주소, 발명의 명칭 등을 작성한다.
2 특허 출원 신청 •요약서: 발명의 전체 내용을 간단히 요약한다.
• 명세서: 도면과 발명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특허 청구 범위
특허 출원에 필요한 서류를 작성하여 특허청에 직접 제출하거
나 온라인으로 제출한 후 수수료를 납부한다. 등을 작성한다.
3 특허 심사 진행 •도면: 발명품의 모양을 나타낸다.
출원 신청한 아이디어나 발명이 특허를 받기에 적합한지 특허청
에서 정해진 심사 기준에 따라 심사한다.
특허 심사 기준
4 특허권 획득 •신규성: 기존에 없던 새로운 것이어야 한다.
심사에서 통과하면 특허 등록 비용과 유지·관리 비용을 납부하
•진보성: 기존의 기술보다 더 발전된 것이어야 한다.
고 특허권을 얻는다. •산업의 이용 가능성: 산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 출처: 특허청, 『지식 재산권의 손쉬운 이용』
그림 Ⅸ-13 특허 출원과 등록 절차
산업 재산권인 특허권, 실용신안권, 디자인권, 상표권을 특허청에 출원하여 등록되면
해당 내용을 공개하는 조건으로 일정 기간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배타적 권리가 보

장된다. 즉 자신이 개발한 제품에 대하여 일정 기간 생산, 사용, 수입, 수출하는 모든 권리
를 독점하며, 다른 사람이 그 제품을 모방하여 사용하지 못하도록 제재하여 자신이 개발
한 제품을 보호할 수 있다.


기 술
공감 모둠별로 191쪽 생활 공감에서 구상한 제품이 특허 요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고, 선행 기술 자료(특허 정보) 를 검색하여 비슷
한 제품이나 아이디어가 특허 등록되어 있는지 조사해 보자.
구상한 제품이 특허 요건을 만족하는지 확인 선행 기술 자료 검색 UP
 신규성, 진보성, 산업의 이용 가능성 등을 충족하  •www.kipris.or.kr 등에서 검색한다.
고, 공공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 • 구상한 제품과 같거나 비슷한 아이디어가 없어야 특허 요건을 확인하고 선행 기술 자료를
한다. 검색한 결과를 검토하여 구상한 제품을
개선해 보자.











02. 발명과 창업 193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