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2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P. 202
그림 Ⅸ-21 국내외 기술 표준 사례와 특징
기술이냐 표준이냐 1978년 National
Panasonic의
1980년대 “마쓰시타의 VHS 기술”이 VCR(비디오)의 표준을 장악하고 있을 당시, 소니는 화질과 음향에 VHS VCR
서 월등히 뛰어난 베타 맥스를 개발하였다. 하지만 이 기술은 표준을 장악하고 있는 마쓰시타의 VHS 방
식과 호환이 불가능해 결국 시장에서 퇴출될 수밖에 없었다.
독점과 공개의 차이
1984년 Apple의 뛰어난 컴퓨터 기술을 가진 애플의 매킨토시는 제3자 생산을 허용하지 않은 고가 정책을 고수하다 IBM의 타기
매킨토시
종과의 호환성 개인용 컴퓨터(PC)에 무릎을 꿇었다. 또한 이동 통신의 강자 모토로라도 유럽 방식(GSM)이 사실
상의 표준으로 채택되면서 노키아에 선두 자리를 내주었다.
적극적인 기술 확산 노력
독일 프라운호퍼사는 MP3의 특허를 획득하고 인터넷에 MP3 소스 프로그램을 공개하는 등 적극적인
기술 확산을 통하여 사실상의 표준으로 인정받았고, 삼성은 LTE 표준 특허를 획득해 스마트폰 제조업
체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많은 수입을 올리고 있다.
※ 출처: 국가기술표준원, 『중고교 ‘기술·가정’과 표준 단원 개발 가이드북』
MP3 스마트폰
표준 특허의 필요성과 중요성 | 특정 기업이 가진 표준 특허 기술을 전 세계 기업들이
사용하면 기술을 사용하는 대가로 특허료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기업들은 표준 특허가
될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한다.
표준 특허가 되면 그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한 또 다른 기술까지 전 세계인이 사용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 사용자들이 마이크로소프트(MS) 윈도 운영
체제를 많이 쓰면 마이크로소프트사가 개발한 워드나 엑셀 같은 프로그램도 많이 쓰게
되는 것과 비슷하다. 이처럼 한 기업의 기술이 표준이 되면, 그 기업이 가진 또 다른 기술
까지 표준이 될 가능성이 크다.
이렇게 표준 특허는 표준으로 정해진 기술을 후발 주자로부터 보호하고, 표준을 따르
는 다른 기업들로부터 특허료를 받게 해 주어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고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므로 매우 중요하다.
기 술
공감 국내외 표준 특허의 사례를 찾아 분석해 보자.
표준 특허 사례 사례 분석
UP
디지털 방송 기술 표준을 사용하는 디지털 텔레비전이나 셋톱 박스 제조사는 생산한
디지털 방송 제품에 대해 한 대당 약 5달러의 특허료를 관련 특허풀 관리 기관인 MPEG LA에 지 분석 결과를 참고하여 표준 특허의 필요
기술 표준 불하고 있다. 이 중 70~80% 정도가 LG 전자가 인수한 제니스의 표준 특허 몫으로 성과 중요성을 이야기하고, 이와 관련된
할당된다. LG 전자는 이를 통해 연간 1억 달러 이상의 특허료 수익을 올리고 있다.
직업을 찾아보자.
200 IX. 기술 혁신과 발명, 표준 BIG 발명과 표준은 국가와 사회의 혁신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