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P. 24
2 책임 있는 부모가 되기 위해 어떤 역량을 갖추어야 할까?
여기서 배울 내용 부모는 자녀가 처음 만나는 어른이자 자녀의 삶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람이다.
•부모 역량의 개념과 구성 요소
부모가 된다는 것은, 부모 없이는 불완전하고 의존적인 존재가 부모 없이도 스스로 결정
•부모 역량을 기르기 위한 방법들
하고 행동할 수 있는 독립적인 존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책임지는 일이다. 따라서 책임
Link & Think 있는 부모가 되기 위해서는 자녀 양육에 필요한 태도, 지식, 기술을 종합적으로 갖추고
중앙 육아종합지원센터
http://central.childcare.go.kr/ 실천해야 한다.
부모의 역할 | 부모는 정서적·경제적으로 자녀를 지원하며, 자녀의 발달 단계에 따라
부모 역량
양육에 관한 가치관, 동기 등의 내적 요 다른 소임을 수행해야 한다. 자녀가 성장할수록 신체적 안전을 책임지거나 훈계를 하는
인과 행동을 함께 가리키는 개념으로,
보호자로서 해야 할 역할은 줄어들지만 자녀에 대한 격려자, 상담자, 조력자로서 해야 할
부모를 둘러싼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역할은 더 중요해진다.
보호자 양육자 훈육자 격려자 상담자 내 아들의 동반자
진로라……
부모 역량 강화 요인 | 부모 역량을 키우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부모 됨을 결정하기 전
가족 구성원으로서 나는 어떤 자녀인지
에 왜 부모가 되고자 하고 어떤 부모가 되고자 하는지를 부부가 함께 의논하는 것이 중
생각해 보자.
요하다. 또 자녀를 독립된 하나의 인격체로 존중하고 잠재력을 가진 존재로 인식하여야
자녀가 성장함에 따라 달라지는 부모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자녀와의 분리, 관계 재정립
을 성공적으로 해낼 수 있다. 부모 역량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배우고 익히면 향상되는
잠재력이기도 하므로 사회적 지원이 많을수록 부모 역량은 향상될 수 있다.
태도 지식 기술
스트레스 관리, 감정 조절을 하며 부 양육과 관련된 정보를 탐색하고, 책 지역 사회의 양육 지원 기관에서 제공되는 부모
모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태도를 갖 을 읽어 양육에 대한 지식을 쌓아야 교육과 상담 서비스를 통해 자녀에게 적절히 반응
추어야 한다. 한다. 하고 자녀와 의사소통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그림 Ⅰ–10 부모 역량 강화 방법
인 성
공감 내가 자녀를 낳는다면 나는 어떤 부모가 되어 있을지, 부모 역량을 중심으로 예측해 보자.
UP
미래의 나의 자녀가 가정에서 해 주길
바라는 역할을 생각해 보자.
22 I. 건강한 삶, 행복한 가정 BIG 건강하고 행복한 가정을 이루기 위해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