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9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P. 29
2 임신 중에는 어떻게 생활해야 할까?
태아 발달과 모체의 변화 | 임신 기간 동안 태아는 모체로부터 산소와 영양을 공급받으 여기서 배울 내용
•태아 발달 과정
면서 성장 발달하며, 모체에는 태반, 탯줄, 양수, 양막 등이 생겨 태아의 발달을 도와준다.
•임신 중 신체 변화
임신 10개월 동안 태아와 모체는 많은 변화를 겪게 되는데, 임신 초기는 태아의 주요 기 •임신 중 생활 방안
관이 형성되고 분화되므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임신이 되면 모체에는 여러 가지 변화가 나타나는데, 개인에 따라 증상과 정도가 조금
양막 태아를 둘러싸고 있는
씩 다르다. 임신 초기의 변화를 모르고 지나치게 되면 모체나 태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 막으로, 태아를 보호
한다.
칠 수도 있으므로 가임기 여성은 항상 자신의 생리적 변화에 유의하여야 한다.
양수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태아를 보호한다.
태아의 발달 모체의 변화
탯줄 태아와 태반을
머리가 전체의 반 정도를 차지하고 긴 꼬리 연결한다.
가 달린 물고기 모양을 하고 있다. 1개월 아직 임신인지를 자각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태반 산소와 영양분을
신체 각 부분이 확실하지는 않지만 차츰 사 2개월 사람마다 다르지만 임신 5주째부터는 입덧 공급하고 태아의
람의 형체를 갖추고 심장이 발달한다. 을 시작한다. 이산화 탄소와 노
폐물을 배출한다.
급성장하는 시기이며 두뇌와 척수가 될 관 자궁이 커져 방광이나 직장이 압박을 받아 소
안에서 세포가 급격하게 불어난다. 이때부터 3개월 변 횟수가 늘고 변비나 설사가 생기기 쉽다. 그림 Ⅰ-12 태아의 성장을 돕는 기관
성별 구별이 가능하다.
운동이 점차 활발해져 손발을 구부렸다 폈다 4개월 자궁이 커지고 양수도 늘어나기 때문에 아랫
하며 양수 속에서 자유롭게 움직인다. 배가 부풀어 조금씩 눈에 뜨인다.
과학
각 기관의 작용이 활발해지며 양수를 삼키기 아랫배가 앞으로 나와 몸의 균형이 무너지기
도 하고 콩팥 기능이 발달하여 묽은 소변을 5개월 때문에 허리 근육이 긴장되어 요통이 생기기 임신 중독증
배설하기도 한다. 쉽다. 임신을 하면 혈액과 순환기가 변하
는데, 몸이 이에 적응하지 못해서
입을 벌리고 양수를 마시고 뱉는 일이 자주 혈압이 올라가며 콩팥 기능의 이상
있으며 손가락을 빨기도 한다. 외부 자극에 6개월 태아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느낄 수 있다.
반응한다. 으로 단백뇨가 생기는 병이다. 임신
중독증은 대개 임신 후기에 많이 발
생한다. 임신 중독증에 걸리면 미숙
자궁이나 유방이 커지면서 피부가 늘어나 배
각 장기가 거의 발육되어 사람의 기능이 한 아 출산은 물론 시력 장애 등의 후
층 충실해진다. 7개월 나 유방 주위에 검붉은 색을 띤 임신선이 나
타난다. 유증이 있을 수 있고, 심할 경우 태
아와 산모의 생명이 위험해진다. 그
러나 조기에 발견하면 치료할 수 있
태아는 자궁 속을 꽉 채우며 대부분이 머리 자궁의 위쪽이 올라와 심장이나 위가 눌려서 으므로 몸이 붓거나 혈압이 높아지
를 아래로 향하고 엉덩이와 발을 위로 한 자 8개월 숨이 차거나 가슴이 두근거리고 위가 쓰리는
세를 취하고 있다. 증세가 많아진다. 는 등의 초기 증세가 생기면 재빨리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 출처: 김성수, 『임신 출산 육아 백과』
폐나 콩팥 기능이 성숙하여 호흡이나 젖을 불규칙한 자궁 수축 때문에 때때로 배가 땅
빠는 것도 어느 정도 가능해진다. 9개월 기고 팽팽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출산이 가까워지면 태아가 골반 안으로 내려
대부분 머리를 아래로 향한 자세로 위치가 10개월
고정되며 태동이 둔해진다. 가 위의 압박감이나 답답함은 조금 덜해지고
식욕도 늘어난다.
그림 Ⅰ-13 태아의 발달과 모체의 변화
03. 준비된 임신과 건강한 출산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