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7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P. 47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외적으로는 가족의 수와 구성, 형태 등에서 커다란 변화가 일어 한국의 의례 - 돌과 회갑
• 돌: 의학이 발달하지 못해 어린아이들
났고, 내적으로는 여성의 사회 진출, 개인주의, 양성평등 의식의 확대로 과거 전통 사회에 의 생존율도 낮았던 시절이었기 때문

서의 가족 문화와는 다른 모습을 보인다. 에 만 1살이 되는 날을 기념하며 아기
의 건강한 성장과 행복을 축원하였다.
그러므로 가족은 지난날과 오늘날의 가족 문화를 이해하고 비교하면서, 사회 변화에 • 회갑: 평균 수명이 짧았던 과거에는
나이 60을 넘기는 것을 큰 복을 누리
주체적으로 대응하여 새롭고 다양한 삶을 창조해 나가야 한다.
는 일이라 여겨 자손들이 잔치를 해
드렸다. 회갑이라는 말은 자기가 태어
지난날 오늘날 난 해로 돌아온다는 뜻으로, 환갑이라
고도 한다.
가부장적인 가족 문화 민주적이고 양성평등한 가족 문화
효를 중시했으며, 남성 사회가 변화하면서 남녀평등 의식이 확대되었고, 부부
우위의 생활 질서가 자 관계와 부모 - 자녀 관계가 민주적이고 대등한 관계로
리 잡은 사회였다. 변화되었다.




형식을 중시하던 의례 문화 환갑 여행 실용을 중시하는 의례 문화
간다!
형식을 엄격히 준수했으며, 체면과 예의를 중시하였다. 형식을 엄격히 준수했던 과
거 관혼상제 의례, 통과 의
례, 명절, 세시 풍속 등은 절
잘 다녀올 차가 간소화되고 실용적으
게.
로 변화되었다.
엄마가 외가에 가셨어.
단일한 가족 문화 큰엄마네서 같이 저녁 다양해진 가족 문화
농경 사회에서는 사람 먹자. 저출산·고령화 사회, 다문화 사회가 되면서 가족 문화
의 노동력이 중요했으 도 다양하게 변화되고, 세계화로 다양한 문화를 접할
므로 가족이 가까이 모 기회가 많아져 가족 문화도 달라지고 있다.
여 살았고, 혈연을 중시
하였다. 네.

요즘 학교생활
생산 지향적 가족 문화 어때? 소비 지향적 가족 문화
산업이 발달하기 이전에는 무엇인가를 소비하기보다 전반적인 경제 수준이 향상
만들어 내는 것을 중시하였으며, 절약을 중요 미덕으 되어 소득 수준이 높아지고,
로 생각하였다. 맞벌이 가정이 증가하면서
상품화된 서비스를 이용하는
우리반 애들
다 ◯◯해요. 저도 가족 문화가 보편화되었다.
◯◯ 사 주세요.
그림 Ⅱ-5 가족 문화의 변화

생활
공감 우리 집을 대표하는 가족 문화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고, 특별한 점을 찾아 평가해 보자.

UP

우리 집을 우리 집의 가족 문화에 가장 큰 영향을
대표하는 특별한 점 미친 요소를 알아보자.
가족 문화





02. 가족 문화와 세대 간 관계 45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