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0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P. 50
단원을 마친 후
스스로 정리 하기
01 자녀 돌보기 • 다음의 발달 단계에 따른 특징을 바르게 연결해 보자.
•시기별 발달 특징 ⑴ 신생아기 • • ㉠ 자기중심적 언어 사용
•시기별 돌보기 ⑵ 영아기 • • ㉡ 자아 개념 형성
⑶ 유아기 • • ㉢ 애착 형성
⑷ 아동기 • • ㉣ 태변 배설
• 발달 단계에 따른 부모의 역 • 다음 설명 중 맞는 것은 ○, 틀린 것은 ×를 해 보자.
할 ⑴ 신생아의 감각 기능 중 발달이 가장 더딘 것은 시각이다. ( )
⑵ 신생아기는 부모와의 애착 관계를 통해 타인에 대한 신뢰감을 형성한다. ( )
⑶ 영아기에는 반복되는 질문이 많아도 인내심을 가지고 성의껏 대답해 주어야 한다. ( )
⑷ 유아기에는 사고력이 발달하므로 유아의 호기심을 충족시켜 주기 위해 부모는 다양한 환
경을 제공하여야 한다. ( )
⑸ 아동기에는 관심 있는 일을 노력하여 성취할 수 있도록 격려해야 한다. ( ) 36~43쪽
02 가족 문화와 세대 간 관계 • 다음 빈칸에 알맞은 말을 써 보자.
•가족의 역사와 가족 문화 ⑴ 는 한 가족이 생활 속에서 공유하는 문화로, 그 가족만의 고유한 생활 습
•세대 간 조화 방안 관이나 행동 유형을 말한다.
⑵ 지난날의 가족 문화가 남성 위주의 생활 질서인 가부장적인 가족 문화였다면 오늘날에는
부부 관계와 부모 자녀 관계가 하고 인 가족 문화라고 할 수
있다.
⑶ 부모와 자녀의 세대 차이 때문에 생기는 갈등을 줄이려면 을 가져야 한다.
그래야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서로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다음 설명 중 맞는 것은 ○, 틀린 것은 ×를 해 보자.
⑴ 가족 문화는 가족만이 공유하고 다음 세대로 이어 가는 것이기 때문에 사회의 변화와는
관계가 없다. ( )
⑵ 우리나라는 가부장을 중심으로 한 수직적 가족 관계였고, 효와 예를 중시하고 웃어른을
공경하는 생활 문화를 지켜 왔다. ( )
⑶ 오늘날 자녀 세대들은 정서적 측면을 중시하는 부모 세대의 목표 추구 과정과 달리 노력하
는 태도와 수단 마련 측면을 중시한다. ( ) 44~47쪽
48 II. 자녀 돌보기와 가족 문화 BIG 인간은 어떻게 성장하고 가족 내에서 어떤 관계를 맺으며 살아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