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5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165
2 재고 관리 시스템의 유형
재고 관리 시스템에 도입되는 세 요소는 수요량, 재고량, 발주량이다. 이들의 상관 TIP
재고의 유형
관계에서 발생하는 총비용이 최소가 되는 적정 재고량을 결정하는 것이 재고 관리
•안전 재고
시스템의 목적이다. 제품 수요 변동에 대응하기 위한 재
고로, 불확실한 고객의 수요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재고이다.
(1) 정량 발주 시스템 •완충 재고
생산 현장에서 공정 단계별로 어느
재고량이 규정된 수량(주문점)에 도달했을 때 일정량을 발주하는 방식으로, 고가 정도 재고를 보유함으로써 산출량을
의 단일 품목에 적합하다.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재고이다.
•계절 재고
생산 능력이 고정적이어서 계절 수
(2) 정기 발주 시스템 요 등을 예측하여 고려한 재고로, 의
류, 농산물 등의 분야에서 발생한다.
미리 정해 놓은 발주 시기가 되었을 때 부족한 재고량(최대 재고량-현재 재고량) •수송 재고
을 발주하는 방식으로, 저가의 다양한 품목에 적합하다. 이동 재고라고도 하며, 이동 중에
있는 물품에 대한 재고이다.
•과잉 재고
(3) 경제적 주문량
허술한 재고 관리로 인하여 특별한
원인 없이 쌓아 놓은 재고를 말한다.
주문 비용과 재고 비용의 합을 최소로 해 주는 주문량을 말한다.
(4) ABC 재고 관리 시스템
값이 비싸고 중요한 품목을 우선하여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선별적 재고 관리 방식
으로, 재고 품목의 중요도와 가치에 따라 그 등급을 다르게 분류하여 관리한다.
다음의 표처럼 A등급, B등급, C등급으로 재고를 분류하여 각 유형별로 차별 관리
한다.
[ 표 Ⅲ - 2 ] ABC 재고 관리 시스템의 재고 분류
분류 통제 정도 주문 빈도 품목 범위 금액 범위 기록 형태
A등급 집중 높음 15~20% 60~90% 정확
B등급 보통 보통 30~40% 10~30% 보통
C등급 간단 낮음 40~60% 10~20% 단순
(5) MRP 시스템
MRP(자재 소요 계획, 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시스템은 최종 제품이나 주
요 조립품의 완성 일정을 기준으로 하여 필요한 자재와 부품을 거꾸로 계산하는 재
고 관리 시스템으로 조립 공정별로 필요한 자재를 사용 직전에 준비하기 때문에 납
기와 재고를 효율적으로 통제하며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적 접근 방법이다.
1. 구매·자재 관리 163
공업일반_3단원 김영수 0426.indd 163 2017-08-30 오후 2: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