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7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167









중단원 정리하기



구매 관리
개념: 제품에 생산하는 데 필요한 원자재를 적당한 시기에, 최소 가격으로, 적절한 공급자로부터 구매하여 생산 라인에
능률적으로 공급해 주기 위한 전반적인 구매 활동
역할: 필요한 부품, 물량, 수량을 최소화한 가격으로 구입 및 조달


자재 관리
개념: 원자재를 안전하게 보관해 두었다가 생산에 지장이 없도록 적기에 반출함으로써 생산 시스템을 지원하는 관리 활동
역할: 원자재 검수, 원자재 보관, 반출

원자재 구입 절차

구매 요구서 → 견적서 분석 및 공급사 선정 → 주문 및 구매 계약 → 납품 확인과 대금 지급 → 사후 관리

원자재 공급에서 소비자 전달까지의 과정

구매 관리 자재 관리






원자재 공급자 원자재 구입 원자재 보관 반출 제조 현장 관리 재고 관리 유통 관리 소비자

재고 관리 시스템

정량 발주 시스템, 정기 발주 시스템, 경제적 주문량, ABC 재고 관리 시스템, MRP 시스템 등



탐구
직업 자재 관리 사무원


주요 업무 ① 제품 생산에 필요한 각종 자재를 생산 부서에 효율적으로 지원 공급하기
위하여 소요 계획을 수립하고 적정 재고량을 유지ㆍ관리한다.
② 제품 생산에 필요한 각종 자재의 내역과 용도를 조사ㆍ분석하여 연간, 월간, 주간,
일일 소요 계획을 수립한다.
③ 각 부서로부터 자재 청구서 또는 자재 지원 의뢰서를 접수받고 소요량을
검토한다.
④ 자재 창고의 재고 현황을 확인하고 자재 의뢰 부서로 제품을 보내도록
통보하며 생산 부서의 사양에 맞게 적시에 적정량이 공급되도록 제반 사항을
관리한다. 또 자재 관리 상태 및 보유 자재 현황을 파악하여 일지에 기록한다. 자재 관리 사무원

필요 역량 ① 인터넷 활용 능력과 컴퓨터를 활용한 문서 작성 능력이 필요하다.
② 입출고 재고 관리, 원자재 및 부자재 관리 능력이 필요하다.

진출하는 곳 자재 보관 사무원, 자재 기록 사무원, 구매 사무원, 외주 관리원
<출처: 한국직업사전, 고용노동부, 한국고용정보원, 워크넷>

1. 구매·자재 관리 165






공업일반_3단원 김영수 0426.indd 165 2017-08-30 오후 2:05:26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