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8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208
2 창업의 절차
기업을 설립하기 위해서는 창업 구상에서부터 사업 개시까지 정해진 순서를 단계
적으로 밟아 가며 필요한 사항들을 철저하게 점검해야 한다.
(1) 창업 구상 및 업종 선정
창업 희망자는 먼저 경영자로서의 자질과 적성을 파악하여 창업이 자기에게 알맞은 TIP
업종 선정 시 고려 사항
것인지 점검해 보아야 한다.
•적성에 맞는가?
또한 어떠한 업종을 선택할 것인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금이 적당한지의 여부를 •안정성 있는 업종인가?
•성장성 있는 업종인가?
검토하여 필요하다면 자금 조달 계획도 세워야 한다. •자금 조달 능력과 맞는가?
•경험이나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가?
•수익성이 있는가?
(2) 사업 타당성 분석
모든 사업을 시작할 때에는 어떤 형태로든지 사업을 통하여 발생할 이익과 손해를
냉정하게 분석해야 한다.
사업 타당성 분석은 시장 환경과 보유 기술, 재무 상태 등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통하여 자신이 하고자 하는 사업이 과연 이익을 발생시킬 수 있는가에 대해 검토를
하는 것이다.
적어도 투자 대비 수익율이 3% 이상은 되어야 하며, 5~8% 정도 되면 사업 타당성
이 있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시장 규모 및 잠재력 분석 상권 분석 자금 조달 능력 검토
판매 예측, 기존 제품 탐색 및 상권 관련 자료 조사 자금 조달 관련 자료 조사
신제품 탐색 • 소요 자금의 규모 및 조달
• 세대 수 및 인구 수(고정 및
• 규모(연령별, 소득별, 가구별, 유동 인구) 가능성
소비자 수 등) • 상권 규모(주간, 야간, 통행 •차입 가능 여부
•경쟁 업자, 경쟁 제품 상태 차량, 시간대별 유동 인구 •차입 시 상환 능력 검토
•가격 구조, 예상 판매량 등)
•판매처, 판매 조직 구성 •경쟁 업체 경쟁력 조사 등
•시장 진입 상태 등
[그림 Ⅲ-50] 사업 타당성 분석
TIP
(3) 창업 계획서 작성 창업 계획서의 역할
창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행
창업 계획서는 창업하려는 사업에 대한 계획을 문서로 작성한 자료를 말한다. 막 착오를 줄이고 사업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는 지침서 역할을 한다.
연하게 생각만 하는 것보다 창업 계획서를 꼼꼼하게 작성하면서 사업 계획을 수립하
면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미비점이나 개선해야 할 부분들을 발견할 수 있으므로 사
업 성공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206 Ⅲ. 기업의 경영 활동
공업일반_3단원 김영수 0426.indd 206 2017-08-30 오후 2: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