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2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232
2 전기 안전사고의 특징과 예방 대책
전기는 사용이 편리하고 공해가 없는 에너지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고유한 TIP
단락
특성 때문에 항상 사고의 위험이 존재하므로 안전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
전선의 피복 등이 손상되어 전위차
가 다른 두 부분이 접촉되는 것을
(1) 전기 안전사고의 특징 말한다. 일반적으로 2개의 선이 붙
었다고 하여 ‘합선’이라고 부르기도
전기 에너지는 형체나 소리, 냄새가 없어 외관상으로는 전기가 흐르는 곳을 확인 한다. 합선이 되면 전기 저항이 ‘0’
이 되고 또한 매우 큰 단락 전류가
할 수 없다. 또한 전기의 속도는 빛의 속도처럼 빨라 전기 안전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흘러 발열이나 불꽃이 일어나며 심
할 경우 화재나 폭발로 이어진다.
위기 대처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며,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전기 안전사고는 현장 상황의 변화에 따른 여러 가지 변수들에 의해
쉽게 달라진다.
1 전류의 크기에 따른 위험도
인체는 금속체와 같은 양도체로 전류가 잘 통한다. 만일 인체에 전류가 흐르게 되 Kh(Kill of Heart)
위험도를 나타내는 계수
면 작은 전류에서는 약하게 느끼지만, 전류가 강하게 되면 ‘통과 전류의 크기×시간’
의 크기로 전격을 느끼게 된다.
2 통전 경로에 의한 영향
[표 Ⅳ -3] 통전 경로별 위험도
[표 Ⅳ-3]의 통전 경로별 위험도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왼손 순위 통전 경로 Kh
과 가슴 사이에 53mA의 전류가 통전되는 것과 양손과 양발 사이에 1 왼손 → 가슴 1.5
2 오른손 → 가슴 1.3
80mA의 전류가 흐를 때의 위험도가 거의 같다. [표 Ⅳ-3]에서 ‘왼손
3 왼손 → 한발 또는 양발 1
과 가슴’인 경우에는 전류가 심장을 통과하므로 가장 위험하다. 일반
4 양손 → 양발 1
적으로 오른손보다는 왼손이 통전 경로가 되는 경우에 심장을 통과 5 오른손 → 한발 또는 양발 0.8
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더 위험하다. 6 왼손 → 등 0.7
7 오른손 → 등 0.3
[표 Ⅳ -4] 전류의 크기에 따른 인체의 반응
통과 전륫값의 1mA 5mA 10mA 15mA 50~100mA
크기(정도)
약간 느낀 정도 경련을 일으킨다. 불쾌감을 느낀다. 강력한 경련을 일으킨다. 사망
증상
230 IV. 산업 안전과 환경 오염
공업일반_4단원 김영수 0426.indd 230 2017-08-30 오후 2:3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