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6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236









(2) 화공 안전사고의 원인과 예방 대책

화공 안전사고의 대표적인 유형은 폭발 사고, 화재 사고, 누출 사고 등이며, 이 가
운데 폭발 사고가 통계적으로 가장 많이 발생한다.


1 폭발 사고
폭발 위험 물질은 특성과 종류가 다양하며, 작은 에너지로도 쉽게 불이 붙거나 성

분이 분해되면서 폭발을 일으킬 수 있다.
폭발성 물질은 습기나 공기와 접촉했을 때 스스로 폭발하거나 고온으로 분해되면

서 다량의 에너지를 방출하여 거대한 폭발을 일으킬 위험성이 항상 내재되어 있으므
로 취급 시 유의하여야 한다.
폭발성 물질을 취급하거나 제조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위험 방지 조치를 반드

시 실시해야 한다.


폭발 사고 위험 방지 조치

•폭발성 물질이 있는 장소는 항상 정리·정돈해야 한다.
•폭발성 물질이 있는 곳에 가연성 물질이나 산화성 물질을 두지 않는다.
•폭발성 물질이 있는 곳에 화기나 점화원이 될 만한 물질을 접근시키지 않는다.
•폭발성 물질에 충격을 가하지 않는다.
•폭발성 물질을 가열하거나 마찰하지 않는다.




2 화재 사고 TIP
소화 효과 및 소화제
화학 공업에서 사용하는 인화성 물질로 인한 화재는 연소열이 높고, 열 방출 속도 •A급: 냉각(물, 강화액, 산)
•B급: 질식(포말, 분말, CO2)
가 빠르며, 유동적인 특징을 갖고 있으므로 아주 위험하다. 일반적인 화재는 연소의 •C급: 질식, 냉각(유기성, 분말)
•D급: 질식(건조사, 팽창 질식)
3요소가 결합했을 때 발생하지만 화학 공업에서는 물질의 반응만으로도 화재가 발
화재의 분류
생할 수 있으므로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A급(일반 화재): 목재, 종이류
화공 화재 사고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소화의 원리와 소화의 효과, 소화제의 적용 •B급(유류 화재): 유류, 가스류
•C급(전기 화재): 전기류
방법을 이해하고, 발화 및 인화성 물질의 위험 방지 규칙을 준수해야 한다. •D급(금속 화재): Ma분, AL분 등
•E급(가스 화재): 가연성 가스, 불
연성 가스 등
인화성 물질의 위험 방지 규칙

•발화성 물질이나 인화성 물질을 화기나 점화원이 될 만한 것에 접근시키지 않는다.
•인화성 물질을 따르거나 증발시키거나 가열시키지 않는다.
•발화성 물질을 산화 촉진제나 물 등에 접촉시키지 않는다.
•발화성 물질을 가열하거나 발화성 물질에 충격을 가하지 않는다.
• 발화성 물질이나 인화성 물질이 있는 장소는 항상 정리 정돈하고, 가연성 물질이나 산화
성 물질을 함께 두지 않는다.
[그림 Ⅳ-17] 냉각 소화법
(물 방사)



234 IV. 산업 안전과 환경 오염






공업일반_4단원 김영수 0426.indd 234 2017-08-30 오후 2:32:47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