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9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239









(2) 건설 안전 수칙

건설 현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스스로 안전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안전대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고 인체에 가
건설 현장에서 지켜야 할 기본적인 안전 수칙 10가지는 다음과 같다.
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보호구
로, 작업자의 생명줄이라고도 함.
건설 안전 수칙 10가지
1. 작업 전 안전 점검과 작업 중, 작업 후 정리 정돈을 철저히 한다.작업 전 안전 점검과 작업 중, 작업 후 정리 정돈을 철저히 한다.
2. 안전모(턱끈), 안전대, 안전화 등의 보호구는 반드시 착용한다.
3. 건설 장비 사용 시에는 신호수를 배치한다.
4. 바닥 개구부에는 안전 난간, 덮개를 설치하고, 앞에는 위험 표지판을 설치한다.
5. 동바리는 검정품을 사용하고, 파이프 서포트는 2단 이상 설치를 금지한다.
6. 비계 설치 시 작업 발판은 2개소 이상 고정하며 이동식 틀 비계에는 작업 발판과 안전
난간을 설치한다. 동바리
7. 고소 작업 시에는 떨어짐, 날아옴의 위험에 대비하여 안전 방망을 설치한다. 타설된 콘크리트가 소정의 강도를 얻
기까지 고정하중 및 시공하중 등을
8. 전동 기계·기구는 절연 및 방호 장치를 설치하고, 분전함은 누전 차단기와 외함 접지한다.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가설 부재
9. 작업 공정 간 이상 발견 시에는 작업을 즉시 중지하고 원인 제거 후 진행한다.
10. 공동 작업 시에는 근로자 간 서로 신뢰하고 상호 협조하는 마음으로 임한다. 고소작업
높이 2m 이상의 장소에서의 작업을
말한다.
(3) 건설 안전사고 예방 대책 안전 방망
높은 곳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추
건설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무재해 의지 락 및 물체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하
여 수평으로 설치하는 보호망을 말
가 확고해야 하고, 현장 근로자의 안전 실천 노력이 동시에 추진되어야 한다. 한다. 이때 낙하물 방지용 방망은
그물코가 20㎜ 이하이어야 한다.

[표 Ⅳ -9] 건설 현장 관리직과 근로자의 역할
구분 관리직 근로자
•안전 보건 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와 요구
•경영자의 안전에 대한 인식
• 노사 협의회를 통한 합리적인 절차와 방법으로 안전에 관한 의
•적정 공사 기간 확보
역할 사 개진
•근로자 안전 관리 교육 철저
•안전 작업을 위한 근로자의 성실한 자세
•하도급 안전 관리 체제 강화
•안전시설 설치와 보호구 지급 요구 및 활용

공업 자료실 안전 장구(보호구)


• 물체가 떨어지거나 날아올 위험: 안전모
• 물체의 낙하, 충격, 물체에 끼임, 감전 또는 정전기의 대전에 의한
위험이 있는 작업: 안전화
• 선창 작업 등에서 분진이 심하게 발생하는 하역 작업: 방진 마스크
• 용접 시 불꽃이나 물체가 흩날릴 위험이 있는 작업: 보안면
• 감전의 위험이 있는 작업: 절연용 보호구

• 근로자가 떨어질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하는 작업: 안전대
• 물체가 흩날릴 위험이 있는 작업: 보안경
각종 보호구 사진
• 고열에 의한 화상 등의 위험이 있는 작업: 방열복

1. 사고와 산업 안전 237






공업일반_4단원 김영수 0426.indd 237 2017-08-30 오후 2:32:5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