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8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238










4 건설 안전사고의 형태와 예방 대책

건설 공업은 다른 공업에 비해 규모가 크기 때문에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안전 TIP
기인물
사고가 중대 재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직접적으로 재해를 유발하거나 영

특히 건설 현장의 안전사고는 공사의 품질과 공정, 비용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 향을 끼친 에너지원으로, 운동, 위
치, 열, 전기 등을 지닌 기계·장치,
칠 뿐만 아니라 경제・사회적으로도 심각한 피해를 가져오게 되므로 안전 관리에 특 구조물, 물체·물질, 사람 또는 환경

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1) 건설 안전사고의 형태

건설 현장의 안전사고는 사람의 떨어짐과 넘어짐, 물체의 부딪힘, 사람이 물체에
부딪힘, 물체의 떨어짐과 날아옴, 기타 무너짐 사고 등으로 나타난다.


[표 Ⅳ -8] 건설 안전사고의 형태 비계
공사 시 높은 곳에서 작업할 수 있
사고 형태 사고 내용 발생 장소 도록 설치하는 임시 가설물로 작업
의 통로나 발판으로 이용하는 장치
사람이 중력(만유인력)에 의하여 건축물, 구 비계, 사다리, 철골 설
떨어짐
조물, 가설물, 수목, 사다리 등의 높은 장소 치 해체 공정, 도장, 방수
(사람)
에서 떨어지는 안전사고 처리 공사 공정 등


넘어짐 사람이 평면이나 경사면, 층계 등에서 구르거 계단, 경사로 공사, 건
(사람) 나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안전사고 또는 전 설 현장 철골 및 재료
도・전복된 물체에 걸려 발생하는 안전사고 걸림
[그림 Ⅳ-19] 비계를 시공하
는 건설 근로자들

재해자 자신의 동작으로 인하여 기인물에 접
부딪힘 건설 기계, 지게차, 로더 로더(loader)
촉 또는 부딪히거나, 고정부에서 이탈하지 않
(물체, 사 작업 현장, 굴삭기, 덤프 굴착, 도랑 파기, 메우기 및 자재 처
은 물체의 규칙적・불규칙적 움직임 등에 접
람) 트럭 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건설 기계
촉・충돌하여 발생하는 안전사고

떨어짐, 구조물, 기계 등에 고정된 물체가 중력, 원심 공장 설비 보수 공사, 타
력, 관성력 등에 의하여 고정부에서 이탈하거
날아옴 워크레인 작업, 철강 구
나 또는 설비 등으로부터 분출한 물체가 사
(물체) 람을 가해하는 안전사고 조물 및 콘크리트 공사



토사, 적재물, 구조물, 건축물, 가설물 등이 건물 해체 공사, 굴착 작
무너짐
전체적으로 허물어져 내리거나 또는 주요 부 업, 터널 작업, 관 부설
(물체)
분이 꺾어져 무너지는 안전사고 공사 등


지계차 작업, 덤프 트럭
건설 기 건설 기계가 넘어지거나 건설 기계 사이에
운행, 굴삭기 작업, 로
계 사고 끼이는 사고
더 작업 현장 등


236 IV. 산업 안전과 환경 오염






공업일반_4단원 김영수 0426.indd 236 2017-08-30 오후 2:32:50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