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3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233









(2) 전기 안전사고의 원인과 예방 대책

전기 안전사고는 전기 화재, 감전 사고, 전기 설비 사고 등의 발생 형태에 따라 그

원인을 다양하게 생각해 볼 수 있다.

1 전기 화재

전기 에너지가 점화원이 되어 발생하는 화재를 전기
화재라고 한다. 전기 화재의 가장 큰 원인은 노후된 전

기 배선이나 전기 기기, 조명 장치, 콘센트와 같은 접속
기구 내에서 발생하는 합선에 의한 경우가 많다. 설비별
로는 전기 배선과 가전 기기로 인한 전기 화재가 주로
[그림 Ⅳ-14] 합선에 의한
발생한다. 발화


[표 Ⅳ -5] 전기 화재의 원인과 특징 및 예방 대책
화재의 원인 특징 예방 대책

피복이 벗겨진 두 전선이 직접 맞닿음으로써 •규격 전선 사용
단락
순간적인 폭음과 스파크가 발생하고 단락점 •전선 당기기 금지
(합선)
이 녹아내리는 현상 • 플러그 몸체를 잡고 분리
• 누전 차단기 사용
전선의 피복이나 전기 기기의 절연물이 불량 • 정기적 시험
누전
하여 전류가 전깃줄 밖으로 새어 나가는 현상 • 접지부 설치 및 도전성 먼지 주



전선의 허용치를 초과한 전류가 전선에 계속 • 규격 전선 사용
과전류 흐르게 됨에 따라 과열로 피복이 녹으면서 • 배선용 차단기 설치
불이 붙는 현상 • 문어발 접속 금지



전기 전기 회로를 열고 닫거나 퓨즈가 끊어질 때 • 증기, 분진 장소의 방폭형 전기
스파크 스파크가 발생하는 현상 기기 사용


전기 배선이나 전기 기기의 절연체가 노화되
절연 • 노후 전선 교체
어 손상되면 절연 저항이 떨어져 열화가 지
열화 • 노후 기구 교체
속됨으로써 해당 부위가 딱딱해지는 현상

전선과 전선, 전선과 단자 또는 접속부 등의 • 접속부 및 터미널 볼트 조임 유지
접촉부
접촉이 헐거울 때 전류가 흐르면 접촉 저항 • 노후한 배선
과열
이 커지면서 열이 발생하는 현상 • 기구 교체

불에 잘 타는 물질이 증기나 가스 상태에서
• 비정전기 재료 사용
정전기 방전하는 에너지가 주변 가연물의 최소 점화
• 습도 증가 제전기 사용
에너지보다 큰 경우에 발생하는 현상


1. 사고와 산업 안전 231






공업일반_4단원 김영수 0426.indd 231 2017-08-30 오후 2:32:44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