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4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234
2 감전 사고
감전이란 인체의 일부 또는 전체에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하며, 이로 인해 인체
가 받게 되는 충격을 ‘전격’이라 표현한다.
전격이 인체에 미치는 피해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몸으로 들어
온 전기가 신경과 근육을 자극을 하여 호흡 정지나 심실세동을 일으키는 것이며, 둘
째는 전기 에너지가 생체 조직을 파괴하거나 손상시키는 등 인체에 구조적인 피해를
일으키는 것이다. 높은 장소에서 감전된 경우 떨어짐 사고를 유발하여 전격에 의한
2차 재해를 일으킬 수 있다.
[그림 Ⅳ-15] 감전 사고
산업 현장에서 감전 사고를 예방하려면 다음과 같은 안전 조치가 필요하다.
충전부
설비의 안전화 위험 지식 습득 작업의 안전화
무부하 상태에서 전선로에 전하가
•전로를 전기적으로 절연 •기능 숙달 •보호구 및 방호구 사용 가득 차 있는 상태를 말하며, 통상적
•충전부로부터 격리 • 교육·훈련으로 안전 지식 • 검출 용구 및 접지 용구 으로 전압을 인가할 목적으로 한 도
•설비의 적법 시공 및 운용 습득 및 안전 수칙 준수 사용 체 또는 도전성 부분을 의미한다.
•고장 시 신속히 전로 차단 •안전 거리 유지 • 경고 표지 및 구획 로프의
•누전 차단기 설치 설치
•허용 전류에 맞는 전선 사용 •활선 접근 경보기 착용
3 전기 설비 사고
전기 설비의 결함이나 벼락으로 인한 이상 전압 발생, 단락, 새나 짐승의 접촉 등은 누전 차단기
누전에 의하여 회로 내에 흐르는 전
전기 설비 사고의 주 원인이 된다. 전기 설비 사고는 2차적으로 정전, 수돗물 공급 류가 일정한 값을 초과하였을 때 전
원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는 장치
중단, 전력 기기 손상 등의 재해로 이어진다. 결국, 생산 설비 중단과 함께 화재의 위
험을 높이며 전압 증가로 인한 폭발의 위험에 직면하게 된다.
전기 설비 사고는 피해 규모가 국가적이거나 지역 전체로 확장되고, 손실 비용이
커져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철저한 안전 점검을 통하여 사고를 예방해야 한다.
전기 설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은 다음과 같다.
TIP
활선과 활선 작업
전기 설비 사고 예방 대책 활선은 전기가 통하고 있는 전선의
상태를 뜻한다. 활선 작업을 행하는
•근로자는 반드시 보호구를 착용하고 안전 작업 절차를 준수해야 한다. 작업자는 전봇대에 오르기 전에 절
• 전기 충전부는 절연 보호구 없이 접촉하지 않아야 하며, 작업자는 젖은 손으로 기기를 연 장화, 절연복 및 안전대를 착용한
조작하지 않는다. 다음 절연 장갑을 착용한 뒤 작업에
• 사업장에서는 전기 충전부를 격리하고, 각 전기 설비를 접지하며, 누전 차단기를 설치한다. 임해야 한다.
•전기 스위치 부근에 인화성 물질이나 가연성 물질을 두지 않는다.
• 전기 설비를 수리하거나 점검할 때는 ‘수리 중’ 또는 ‘점검 중’임을 표시하고, 관계자 외
에는 출입을 금한다.
•허가 없이 임의로 전기 배선에 접속하거나 사용하지 않는다.
•전원 연장선은 가급적 짧게 사용한다.
232 IV. 산업 안전과 환경 오염
공업일반_4단원 김영수 0426.indd 232 2017-08-30 오후 2:3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