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3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243
중단원 정리하기
사고의 간접 원인과 직접 원인
간접 원인: 기술적 원인, 교육적 원인, 작업 관리상의 원인
직접 원인: 불안전한 행동과 불안전한 상태
중대 재해
사망자가 1인 이상 발생한 재해, 3개월 이상의 요양을 요하는 부상자가 동시에 2인 이상 발생한 재해, 부상자 또는 직업성
질병자가 동시에 10인 이상 발생한 재해
재해 이론
하인리히의 도미노 이론: 불안전 행동 또는 불안전 상태 요인을 제거하면 재해 예방이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이론
버드의 신도미노 이론: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특히 기본 원인의 제거가 중요하다는 이론
재해 예방의 4 원칙 손실 우연의 원칙, 원인 계기의 원칙, 예방 가능의 원칙, 대책 선정의 원칙
재해 예방 5단계 대책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안전 관리 조직 사실의 발견 분석 및 평가 시정 방법의 선정 시정책의 적용
기계 설비의 안전화 방안 구조의 안전화, 외관의 안전화, 작업의 안전화, 기능의 안전화
소화의 원리 질식 소화법(산소 차단), 제거 소화법(가연물 제거), 냉각 소화법(열원 제거)
연소의 3요소 산소, 가연물, 점화원(열),
탐구
직업 산업 안전 관리원
주요 업무 ① 산업 안전, 보건에 관한 기준을 마련하여 산업 재해를 예방한다.
② 산업 재해 원인 조사, 재발 방지, 대책 수립, 근로자의 안전·보건
교육, 개선 사항에 대한 건의를 한다.
③ 안전과 건강에 유해한 작업 현장을 검사하고, 사고나 질병을
조사한다.
필요 역량 ① 산업 안전 관리 및 관계 법규, 기계·전기·화공 안전 등의 분야에 산업 안전 관리원
대한 전문 지식이 요구된다.
② 위험물을 다루거나 안전 점검 등의 업무를 수행하므로 주의력과 판단력이 필요하며, 책임 의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③ 사회형과 탐구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적응성 및 융통성, 사회성, 분석적 사고 등의 성향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관련 자격 기계 안전 기술사, 건설 안전 산업 기사, 건설 안전 기사, 건설 안전 기술사, 산업 위생 관리 기사, 산업 위생 관리
기술사, 산업 안전 산업 기사, 산업 안전 기사 등
1. 사고와 산업 안전 241
공업일반_4단원 김영수 0426.indd 241 2017-08-30 오후 2:3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