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4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254
4 적조 현상
쌍편모 조류
생활 하수, 공장 폐수 등이 바닷물에 많이 유
적조 현상을 일으키는 단세포 또는
입되면 쌍편모 조류가 많이 증식하여 바닷물이 군체 형태의 2개 편모를 지닌 진핵
생물 분류군 중의 하나
붉은색이나 적황색을 띠게 된다. 여기에서 나오
는 독소와 산소 부족은 바닷물고기나 조개류를
죽게 만들며, 이 독소가 쌓인 어패류를 먹으면
식중독을 일으키거나 심한 경우 사망할 수도 있다.
[그림 Ⅳ-28] 적조 현상
(4) 수질 오염 예방 대책 야광충
수질 오염을 예방을 위해서는 각종 오염 시설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와 수질 오염
시스템의 모니터링 및 경보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오염 물질의 배출을 최소
화할 수 있는 기술의 확보와 관리 감독 체제가 안정되어야 한다.
생물 반응조
소독조 세라티움(뿔말)
유량 조정조
TIP
녹조 현상
남조류의 대량 증식으로 물색이 녹
색으로 변하는 현상을 말한다. 유속
이 느리거나 수온이 상승하면 심화
맑은 물 된다.
1차 침전지
2차 침전지
[그림 Ⅳ-29] 하수 처리장의 처리 과정
(5) 해양 오염
해양 오염이란 인간의 활동으로 생겨난 오염 물질이 바다로 유입되면서 바다의 자 TIP
해양 투기 전면 금지
정 능력이 떨어져 해양 생물과 서식 환경을 파괴하는 것을 말한다.
바다의 자정 능력을 이용하여 먼 바
다에 일정량의 폐기물 투기를 허용
1 해양 오염의 발생 원인과 영향 하는 제도가 국내에는 1988년 도
입되었다. 폐기물 투기 장소는 군
해양 오염 물질의 약 80%는 육상에서 비롯된 각종 생활 하수와 산업 폐수, 생활 쓰 산 서쪽 200km 해역 ‘서해병’, 포항
동쪽 125km ‘동해병’, 울산 남동쪽
레기 등으로, 이것이 바다로 흘러 들어가 해양 오염을 발생시킨다. 63km ‘동해정’ 등 3곳으로 전체 면
적은 6,881㎢이다. 그러나 2016년
2 해양 오염 예방 대책 1월 1일부터 산업 폐기물의 해양 투
기가 전면 금지되었다.
해양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육상으로부터의 오염원 유입을 차단하고, 폐기물
의 해양 투기를 금지하는 환경 관리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특히 기름 유출 사고에
대한 예방과 사후 처리를 철저히 실천함으로써 해양 생태계를 보존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
252 IV. 산업 안전과 환경 오염
공업일반_4단원 김영수 0426.indd 252 2017-08-30 오후 2:3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