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8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258
3 생물학적 유해 요인
생물체 형태로 인체에 전달되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 등 감염성 미생물, 알 원생동물
레르기, 원생동물, 꽃가루, 기생충 등의 유해 요인을 말한다.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는 크기로
종속 영양 생활을 한다. 편모충류,
무각 아베바류, 섬모류, 포자충류,
4 인간 공학적 유해 요인 사상 위족류 등으로 대부분 단세포
생물이지만 군체를 이루거나 다세
작업적인 요인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요통, 반복 누적 외상성 장애, 근골격계 질 포 생물도 있다.
환, 교대 작업 에너지 소요량, 휴식 시간, 피로 등이 포함된 유해 요인이다. 누적 외상성 장애
직업성 근골격계 질환으로, 신체의
반복적인 동작 때문에 근육, 인대,
신경, 혈관 등이 지속적인 손상을
입어 악화되는 질환을 말한다.
무리한 힘 반복 동작 부적절한 자세 휴식 부족 근골격계 질환
[그림 Ⅳ-33] 인간 공학적 유해 요인
5 사회 심리적 유해 요인
직업 관련성 질환을 말하며 주로 심리적인 스트레스나 우울증, 집단 따돌림에 의
한 왕따, 심장 질환 및 뇌심혈관관계 질환이 원인이 되는 유해 요인이다.
(2) 작업 환경 유해 요인과 예방 대책
근로자가 오랜 시간 생활하는 작업장은 쾌적한 상태를 항상 유지해야 한다.
1 화학적 유해 요인과 예방 대책
작업장에서는 분진, 증기, 가스, 흄 등의 화학적 유해 인자가 발생하여 근로자들의 분진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예방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 공기 중에 떠 있는 고체 형태의 모든
물질을 말하며, 주로 고체가 기계적
인 작용에 의하해 폭발・파쇄・절단
화학적 유해 요인 예방 대책 되는 작업에서 발생된다.
진폐증
• 발생 억제(습식 방법의 전환, 밀폐 또는 격리, 재료의 대치)
호흡 곤란, 기침, 가래, 진폐 분진을 흡입함으로써 폐에 생기는
분진 • 비산 분진 제거 및 방진 마스크 착용(국소 배기 장치,
증, 폐결핵 유발 등 섬유 증식성 변화를 주 증상으로 하
집진 장치 설치)
는 질병
어지러움, 근육 조절의 곤란, • 현재 취급하고 있는 물질보다 유해성이 적은 물질로 대체
증기 구토, 시력 장애, 기억력 상 •대체 시 저독성 및 무독성 물질로 대체
실, 근육 마비, 체중 감소 등
•밀폐된 탱크, 맨홀 등에서 작업 시 환기 필요
가스 질식사
•산소 호흡기나 방독 마스크 착용
•국소 배기 장치, 전체 환기 장치 설치
흄 호흡기 질환 및 암 유발
•밀폐 공간 작업 시 송기 마스크 착용
[그림 Ⅳ-34] 화학적 유해 요인과 예방 대책
256 IV. 산업 안전과 환경 오염
공업일반_4단원 김영수 0426.indd 256 2017-08-30 오후 2:3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