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0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260
4 인간 공학적 유해 요인과 예방 대책
제품 생산 활동 중 근로자들은 부적절한 작업 자세, 중량물 작업, 반복 작업, 입식 작
업 등에 의해 육체적 피로와 각종 직업병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이를 최소화해야 한다.
인간 공학적 유해 요인 예방 대책
•어깨 높이 이상 들거나 비트는 동작 최소화
부적절한 손목, 팔, 어깨, 목, 요추 등의
작업 자세 위험 •무리하게 팔을 뻗치는 작업은 스트레칭 실시
•2인 1조 작업 및 단위 작업별 스트레칭 실시
• 카트, 레일식 테이블 리프트 등 작업 보조 기구
중량물 추간판 탈출로 인한 신경 압 를 이용
작업 박, 허리 염좌 통증 발생 • 혼자보다는 2∼3인 이상 작업 실시 및 단위
작업별 스트레칭 실시
•반복적인 동작이 필요한 작업의 축소
손가락 저림 및 감각 저하, 손 •팔꿈치는 몸 가까이에 팔은 낮게 유지
반복 작업
목 회전 시 통증 발생 •팔을 팔꿈치보다 높게 작업하지 않게 함.
•신체보다 기계나 공구 등을 활용하도록 함.
• 쿠션이 있는 신발 착용 및 스툴 형식의 의자 제공
입식 작업 무릎, 발목, 허리 이상
• 신체 조건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발판 제공
[그림 Ⅳ-37] 인간 공학적 유해 요인과 예방 대책
5 사회 심리적 유해 요인과 예방 대책
직업 관련성 질환을 말하며 주로 심리적인 스트레스나 우울증, 집단 따돌림에 의
TIP
한 왕따, 심장 질환 및 뇌심혈관관계 질환이 원인이 되는 유해 요인이다. 작업 환경 측정 주기
• 신규 작업장 및 작업 공정 30일
이내 실시하고 그 이후에는 6개월
사회 심리적 유해요인 예방 대책 마다 1회 이상 실시 의무
• 발암 물질 노출 작업장은 3개월마
다 1회 실시
•운동
자살 충동, 체중 감소, 불면 • 최근 1년간 공정 변경, 작업 환경
우울증 •정기적인 검진 치료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1년에 1회
증, 피로와 무기력
•심리 상담가와 사내 고충 상담 실시
•충분한 휴식
뇌혈관 질환, 심장병, 고혈압, •안식년제 도입
스트레스
위장 장애 •업무의 순환
•운동 및 명상
•성실한 태도
집단
따돌림 우울증, 정신적 스트레스 •믿음직한 사람에게 도움 요청
•업무 지적과 괴롭힘 구별
[그림 Ⅳ-38] 사회 심리적 유해 요인과 예방 대책
258 IV. 산업 안전과 환경 오염
공업일반_4단원 김영수 0426.indd 258 2017-08-30 오후 2:3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