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1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261
(3) 작업 환경의 개선을 통한 대책
작업 환경의 개선을 통해 근로자의 직업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근로자 대책, 발생 TIP
VDT 증후군(영상 표시 단말기
원 대책, 유해 요인 전달 과정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증후군, 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표 Ⅳ -15] 작업 환경의 개선을 통한 대책 컴퓨터 모니터 등과 같은 영상 표
시 장치를 보면서 장시간 작업하는
환경 개선 요인 대책 근로자에게 발생하는 눈의 피로 증
상과 근골격계 증상, 피부 증상, 정
• 개인 보호구의 착용, 근로자들을 관리하고 재배치하는 행정적인 조치
근로자 신 신경계 증상을 통틀어 일컫는 말
•의학적 관리, 보건 교육
로, 컴퓨터 시각 증후군(Computer
Vision Syndrome)이라고도 한다.
• 공정 재설계, 유해하지 않거나 덜 유해한 물질로 대체
발생원
•유해한 작업 공정을 격리 또는 밀폐
•전체 환기
유해 요인 •습식법: 제분, 굴착, 분쇄 등 분진이 많이 발생되는 작업에서 사용
전달 과정 • 차폐물: 소음, 방사선, 고열의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벽, 보호판, 방사판 등을 설치
•정리, 정돈, 청결
2 직업병
직업병이란 다양한 직종에서 근로자의 직무 성격이나 장소의 환경적 요인과 작업
자세, 작업 방법 등 근로 조건에 따라 발생하는 특정의 질병을 말한다.
(1) 직업병과 직업성 질환
직업병은 진폐증, 소음성 난청과 같이 직업적 노출과 특정 질병 간에 비교적 명확
한 인과 관계가 성립되어 나타난다. 그러나 직업성 질환은 직업성 천식, 뇌심혈관계
질환이나 근골격계 질환처럼 직업적 노출과 특정 질병 간에 인과 관계가 명확하지
않아 증명이 쉽지 않다. 직업성 질환은 직업적 노출 외에도 개인적인 특성이나 환경,
사회 문화적 요인에 의해 복합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2) 직업병의 특징
석면
직업병은 대부분의 증상이 다른 질환과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모호하며, 다음과 석면은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 지정 1급 발암
같은 비특이적인 증상과 특징을 보이기도 한다. 물질로 호흡을 통해 그 가루를 마시
면 20년에서 40년의 잠복기를 거쳐
직업병의 특징 폐암이나 석면폐, 늑막이나 흉막에
암이 생기는 악성 중피종을 일으킬
•임상적 또는 병리적 소견이 일반 질병과 구분하기 어렵다. 수 있는 유해 물질이다.
• 노출 시작부터 첫 증상이 나타나기까지 매우 긴 시간이 소요된다.
•많은 직업성 요인이 비직업성 요인에 상승 작용을 일으킨다.
•임상 의사의 직업적 관심이 부족하면 이를 간과하거나 직업력이 무시될 수 있다.
•인체에 대한 영향이 확인되지 않은 새로운 물질이 많다.
• 근로자의 보상과 관련되어 있으며, 중증 질환인 경우 산업 재해 보상 보험의 혜택이 크지만 경미
한 질환은 보상의 실익이 적다.
2. 공해와 환경 오염 259
공업일반_4단원 김영수 0426.indd 259 2017-08-30 오후 2:3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