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5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265









중단원 정리하기



환경 오염의 특징 상호 관련성, 광역성, 시차성, 비가역성, 엔트로피 증가

대기 오염

인위적 발생원: 생산 활동, 에너지 소비 활동 등 인간의 활동에 의한 배출원
자연적 발생원: 인간의 활동과 관계없이 오염 물질을 발생시키는 발생원
수질 오염 배출원

점 오염원: 공장, 폐수 처리장, 발전소 등 특정 위치에서 하수관을 통해 오염된 폐수를 배출하는 오염원
비점 오염원: 경작지, 목장, 공사장, 도로 등 곳곳에 산재해 있는 넓은 지역에서 오염 물질이 배출되는 장소

수질 오염의 영향
부영양화: 하천, 호수, 강, 바다에 유기물이 다량으로 흘러 들어가면 미생물이 유기물을 과다 분해하여 수역에 영양이 많아지는 현상
적조 현상: 바닷물에 생활 하수, 공장 폐수 등이 유입되어 쌍편모조류의 증식으로 바닷물이 붉은 색이나 적황색을 띠는 현상

토양 오염 농약, 축산 폐기물, 중금속 물질이 포함된 공장 폐수, 방사능 물질과 같은 오염 물질이 토양에 유입되어 발생


작업 환경 유해 요인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 인간 공학적, 사회 심리적 등

소음·분진·진동 작업

소음: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85dB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는 작업
분진: 진폐증과 접촉성 피부염, 기관지 암, 악성 중피종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작업
진동: 작업자의 손을 통하여 진동이 전달되며 두통과 수면 장애, 울렁거림을 유발


직업병 근로자의 직무 성격이나 장소의 환경적 요인과 작업 자세, 작업 방법 등의 근로 조건에 따라 근로자에게 발생하는
특정의 질병




탐구
직업 폐기물 에너지화 연구원

주요 업무 ① 고분자 폐기물로부터 고급 연료유를 생산하는 기술, 가연성
폐기물로부터 고형 연료나 가스를 생산하는 기술, 유기성
폐기물을 에너지화하는 기술을 연구한다.
② 연구 이외에는 기업 교육을 통해 기술을 이전하는 일을 한다.

필요 역량 ① 대학에서 화학 공학, 응용 화학, 에너지 응용 화학 또는
에너지 공학, 환경 공학을 전공해야 하고 최소 석사 이상의 폐기물을 에너지화하는 공장
학위가 필요하다.
② 전공 지식 이외에도 기계 분야의 지식이 있으면 업무에 도움이 되며 연구원으로서 논리력과 분석력이 요구되고,
대인 관계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이 필요하다. 또한 외국 논문을 읽을 정도의 영어 실력이 있으면 좋다.

미래 전망 폐기물 에너지화는 발생 폐기물의 처리와 온실가스 감축, 대체 에너지 자원 확보, 일자리 창출, 주민 민원, 님비 현
상 해소, 해양 배출 금지 등 당면한 국제 문제 해결 등의 측면에서 정부와 민간 모두의 관심이 증폭되는 분야이다.


2. 공해와 환경 오염 263






공업일반_4단원 김영수 0426.indd 263 2017-08-30 오후 2:33:32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