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0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270
(3) 오존층 파괴
오존층은 고도 50km에 이르는 성층권 가운데 오존이 가장 많이 존재하는 프레온 가스(CFCs)
프레온은 상표명으로 원래의 명칭
24~32km 지역을 말한다.
은 염화 불화 탄소(염화 플루오린화
오존층은 태양의 유해 자외선을 99% 정도 흡수하여 지구의 생명체를 보호하는 역 탄소)이다. 냄새도 없고, 독성도 없
으며, 불에 타지도 않고, 화학적으
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각종 산업과 인간 활동에서 배출하고 있는 유해 물질로 인하 로 매우 안정된 물질로 냉장고나 에
어컨 등의 냉매, 드라이클리닝 용제,
여 오존층이 점점 파괴되고 있어 대책이 절실한 상황이다. 반도체나 정밀 부품의 세척제, 스프
레이와 같은 분사제 등에 이용된다.
1 오존층 파괴의 원인
오존층 파괴의 대표적 원인 물질은 프레온 가스로, 우리
의 일상생활에 편리함을 주는 많은 제품군에 활용되
고 있다.
해로운 자외선이 중간권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되어 있는 프레온 가스 대기로 진입
는 대류권인 지상 10km 상공까지 방출된 뒤 성층권
성층권으로 올라가 자리를 잡는다. 이때
오존층 오존층
프레온 가스는 강력한 자외선 공격을 받 파괴
피부염, 백내장 등 유발
아 분해되며 염소 원자를 만드는데, 생태계 파괴
이 염소 원자는 산소 원자 3개가 약
프레온 가스가 대류권
하게 결합되어 있는 오존을 파괴시 자외선에 의해 분해
오존층 파괴 물질의
켜 놓는다. 염소 원자 1개는 10만 방출
개의 오존 분자를 분해하며 성층
권에 생명체에 유해한 자외선이
통과하는 구멍을 만들어 놓는다.
성층권에 올라간 프레온 가스는
[그림 Ⅳ-44] 오존층 파괴의 원인
무려 100년 동안 지구 환경에 영
향을 미친다. 백내장
안구의 수정체가 혼탁해져서 시력
2 오존층 파괴의 영향 장애를 일으키는 질병으로, 백내장
이 생기게 되면 김 서린 유리창처럼
파괴된 오존층을 통하여 지표로 들어오는 태양의 유해 자외선은 인간의 피부에 침 뿌옇게 보이는 현상이 나타난다.
투하여 피부 노화나 화상, 백내장, 피부암 등을 유발한다. 자외선은 인간뿐만 아니라 광합성
동식물 및 햇볕을 이용하여 광합성을 하는 녹색식물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녹색 식물과 생물이 빛 에너지를 이
용해 이산화 탄소와 물로부터 유기
물을 합성하는 작용을 말함.
3 오존층 파괴를 막기 위한 대책
오존충 파괴의 원인 물질
오존층 파괴의 원인 물질에 대한 생산과 사용량을 억제하고,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오존층을 파괴하는 원인 물질에는
안전한 물질을 개발하여 사용해야 한다. 프레온 가스로 불리는 염화 불화 탄
소와 할론, 염소 화합물, 브롬 화합
물 등이 있다
268 IV. 산업 안전과 환경 오염
공업일반_4단원 김영수 0426.indd 268 2017-08-30 오후 2:3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