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8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268










TIP
대기권의 변화: 대기 조성, 대기 순환 물 순환 변화
엘니뇨(el Nino) 현상
태양 에너지의 구름 남미 해안으로부터 중태평양에 이
변화 대기권
N 2, O2, Ar, H 2O, CO2, 르는 넓은 범위에서 해수면 온도가
화산 활동
CH 4, N 2O, O3 높아지는 현상으로 홍수 반경 및 지
대기-생물권
대기-얼음 에어로졸 상호 작용 구 전체의 대기 순환에 영향을 미쳐
상호 작용 세계 각지의 날씨에 영향을 준다.
경수 증발 인간 활동의 영향 빙상
바람 라니냐(la Nina) 현상
해빙 응력 지구 복사 지표-대기
상호 작용 적도 무역풍이 평년보다 강해지면
서 서태평양의 해수면과 수온은 평
생물권
년보다 상승하고 적도, 동태평양에
수권: 해양 지표면 서는 저수온 현상이 나타나는 현상
토양-생물권
상호 작용 으로 기상 이변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해빙-해양 과정 설빙권: 해빙, 빙상, 빙하
수권: 강, 호수


해양의 변화: 해수 순환, 해수면, 생지화학 지표면의 변화: 지형, 토지 이용도, 식생, 생태계
[그림 Ⅳ-41] 기후 변화 원인



2 기후 변화 영향

기후 변화는 물과 식량의 부족뿐만 아니라 질병이나 가뭄에 의한 기후 난민을 발
생시킨다. 기후 변화에 따른 이주민 발생은 국가 간 충돌과 분쟁으로 이어지고 자연

재해와 재난으로 인한 각종 피해는 전 지구적 문제로 확산되기도 한다. 저체온증
사람의 체온이 35℃ 이하로 떨어진
1906년부터 2005년에 이르는 지난 100년 동안 지구의 표면 온도는 0.74℃ 상승했 경우를 말한다. 체온이 낮아지면 신
진대사가 원활하지 못해 신체 기능
는데, 이처럼 1℃도 안 되는 온도 변화에 지구 곳곳에서는 수많은 이상 징후들이 나
에 제한을 받게 되며, 혈압이 급격
타났다. 2003년 유럽에서는 여름철 이상 고온으로 35,000명이 사망했으며, 같은 해 히 떨어진다. 심하면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할 수 있다.
에 인도와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등지에서는 1월 최저 기온이 평년의 10℃보다 낮은
탈수증
이상 저온 현상이 발생하여 1,000여 명이 저체온증으로 사망하였다. 또한 같은 해 6 신체의 수분의 총량이 정상보다 적
월에는 인도에서 40℃가 넘는 이상 고온 현상이 발생하면서 15,000명이 탈수증과 열 어지는 현상으로, 탈수로 인해 몇
시간 안에 쇼크가 오기도 한다.
사병으로 사망하였다.
열사병
3 기후 변화 전망 고온의 직사광선에 노출되었을 때
일어나는 무기력증을 의미하며, 체
온이 조절되지 않아 41~43℃ 정도
국립기상연구소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지금처럼 계속 증가했을 때 한반도의 21세
로 열이 높이 오르면서 중추신경계
기 말(2071~2100년)의 평균 기온은 20세기 말(1971~2000년)을 기준으로 4℃ 상승 에 손상을 입히기도 한다.

할 것으로 전망했다. 아열대 기후
열대와 같이 기온이 높은 여름과 비
이렇게 되면 이상 고온 현상과 더불어 집중 호우 일수가 늘어나고, 가뭄이 더욱 심
교적 온화한 겨울을 가진 기후로,
해질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겨울철의 강설은 강우로 변하고 여름의 길이가 확연하 강수량이 적은 지방이 많으나 연 강
수량 2,000mm 이상의 지방도 포함
게 늘어나 남한의 대부분 지역이 아열대 기후에 속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된다.

266 IV. 산업 안전과 환경 오염






공업일반_4단원 김영수 0426.indd 266 2017-08-30 오후 2:33:35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