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3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273
(6) 폐기물
우리의 생활 또는 산업 활동에 의해 발생된 필요 없게 된 물질을 폐기물이라고 한
다. 폐기물은 도시 인구의 증가, 폐기물의 악성화 문제를 제기하며, 유해 폐기물의 국
가 간 이동 등은 국제 관계의 악화를 가져온다. 우리가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발생된 폐기물을 관리하는 것은 자연환경을 보전하는 일이기도 하다.
1 폐기물의 분류
폐기물은 일상생활이나 산업 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질로, 생활 폐기물과 사업
장 폐기물로 구분할 수 있다. 그중 사업장 폐기물은 일반 폐기물, 건설 폐기물, 지정
폐기물로 세분화된다.
폐기물
생활 폐기물 사업장 폐기물
연탄재, 음식, 채소류, 종이류, 목재류 등
일반 폐기물 건설 폐기물 지정 폐기물 (감염성 폐기물)
아스콘(ascon)
생활 폐기물과 유사한 콘크리트, 목재류, 아스 환경 오염, 인체에 유해한 물질, 폐 합성수지, 폐 유기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줄인 명칭이
폐기물 콘 등 용제, 폐 페인트, 폐유, 탈지면, 실험 동물의 사체 등 며 아스팔트, 아스팔트 혼합물, 아스
팔트 콘크리트 등 여러 가지로 불리
[그림 Ⅳ-47] 폐기물의 분류 고 있다.
2 폐기물의 처리 방법
폐기물은 재활용, 위생 매립(묻기), 소각 처리(태우기) 등을 통하여 처리한다.
폐기물 처리 방법
•재활용: 분리수거를 통하여 폐기물을 다시 자원화하는 방법이다.
• 위생 매립: 쓰레기를 일정한 높이로 쌓아 다진 후 그 위에 흙을 덮는 처리 방식으로, 지
하수 및 토양 오염 방지를 위하여 침출수를 모아서 처리하는 시설과 쓰레기가 썩을 때
생기는 메테인 가스 등 각종 매립 가스를 모아서 처리하는 가스 처리 시설 등의 환경 오
염 방지 시설을 갖추어 매립 후 토지 활용이 가능하다.
• 소각 처리: 적은 면적에 소각 시설을 설치하여 폐기물을 태워 없앰으로써 부피를 줄이
고, 유해 물질을 사전에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다.
3. 자연환경 보전 271
공업일반_4단원 김영수 0426.indd 271 2017-08-30 오후 2:3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