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6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276
2 국가의 실천
지구의 심각한 자원 고갈과 환경 오염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
기 위하여 국가 차원의 다양한 실천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1) 지속 가능한 발전
‘지구를 건강하게, 미래를 풍 패러다임(paradigm)
어떤 한 시대 사람들의 견해나 사고
요롭게’라는 슬로건으로 대표되
경제적 목적 를 근본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테두
는 ‘지속 가능한 발전(sustainable 효율성/성장 리로서의 인식의 체계 또는 사물에
대한 이론적인 틀을 말한다.
development)’은 자연의 생태계
수입 재분배, 고용, 환경 평가, 환경 가치
의 안정적 성장과 사회의 안정, 사회적 약자 보호 이용 내재화
지속 가능 발전의
환경의 보전에서 통합적으로 조 통합적 모형
화를 이루며 발전해 나간다는 의
미이다. 이는 21세기에 인류가 지 사회적 목적 시민 참여, 협의, 생태적 목적
자연/자원
빈곤/공평
향해야 하는 가치이며, 새로운 발 다원주의
전의 패러다임이다. [그림 Ⅳ-50] 지속 가능 발전의 통합적 모형
(2) 신재생 에너지의 활용
신재생 에너지란 신에너지와 재생 에너지를 합쳐서 부르는 말로, 기존의 화석 연료 생물 유기체
동식물 및 곰팡이, 박테리아는 모두
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햇빛, 물, 지열, 강수, 생물 유기체 등을 포함하는 재생 가능 살아 있는 생명체이다. 이들 모두를
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를 말한다. 신에너지에는 수소 전지, 연료 전 지칭하여 생물 유기체라고 한다.
지, 석탄 액화・가스화 및 중질 잔사유 가스화가 있고, 재생 에너지에는 태양광, 태양 연료 전지(fuel cell)
연료와 산화제를 전기 화학적으로
열, 바이오, 풍력, 수력, 해양, 폐기물, 지열 에너지 등이 있다. 반응시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이 화학 반응은 촉매층 내
에서 촉매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일
반적으로 연료가 계속적으로 공급되
는 한 지속적 반전이 가능하다.
중질 잔사유
원유(정제하지 않은 석유)를 정제하
고 남은 최종 잔재물
[그림 Ⅳ-51] 태양광 발전
274 IV. 산업 안전과 환경 오염
공업일반_4단원 김영수 0426.indd 274 2017-08-30 오후 2:3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