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1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271









(4) 황사 현상

황사는 중국 북서부와 몽골의 건조한 황토 지대에서 바람에 날려 올라간 모래 먼
지와 북경의 공업 지대에서 발생한 오염 물질이 편서풍을 타고 이동하여 한반도의

대기 중에 퍼졌다가 서서히 낙하하는 현상이다.

1 황사 발생의 원인과 영향

황사는 바람에 의해 퇴적된 모래와 진흙이 섞여 있는 황토 지대에서 주로 발생하 사막화 현상
건조, 반 건조, 건성 반 습윤 지역에
는데, 대체로 건조 지대와 반 건조 지대의 모래 폭풍에 의해 일어난다. 최근의 빈번 서 부적절한 인간 활동에 기인하는
토지의 황폐화 현상을 말한다.
한 황사는 지구 온난화로 인한 사막화 현상과 무관하지 않다.
황사가 발생하여 오염된 대기에 퍼지면 먼지에 민감한 산업 분야의 불량률이 증가

하고 생산성이 떨어진다. 또한 중국을 건너온 먼지 속에는 먼지뿐만 아니라 중금속
까지 포함되어 있어 각종 호흡기 질환과 건강 장애를 일으킨다.


50 130 TIP
100 120
110 황사로 인한 산업 부문 피해
• 정밀 산업(반도체, 전자)에서 불량
률이 평소보다 4배 증가
• 조선 업계 및 서비스업 도장 작업
몽골 네이멍구 일시 중단, 백화점과 할인점 매출
20% 감소
•기타
레저, 스포츠 등 실외 서비스 산업
베이징 이 주요 피해 분야로 대두
고비 사막 선양
40
다롄
타이워안 한국
텐천
중국 황토 고원 스자솽 인천

질소 산화물(NOx) 질산 칼슘(Ca(NO 3 ) 2 )
황산화물(SOx) 황산 칼슘(CaSO 4 )
탄산 칼슘(CaCO 3 )
고비 사막의 황사 토양 베이징, 다롄 등 공업 도 3~4시간 동안 날아가면서
입자가 주성분 시의 오염 물질에 들어 화학 반응, 서해안 도착 때
있는 성분 성분 변화


[그림 Ⅳ-45] 황사의 이동 경로와 성분 변화 과정 TIP
황사 주의보와 경보
2 황사의 예방 대책 • 황사 주의보: 황사로 말미암아 1
시간 평균 미세 먼지(PM10)의 농
황사는 발생지뿐만 아니라 기류가 흐르는 지역의 여러 국가가 연달아 피해를 입게 도가 400㎍/㎥ 이상이며, 이러한
상황이 2시간 이상 지속할 것으
되므로 국가 간 협력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황사 발원지인 중국과 몽 로 예상될 때 발령한다.
• 황사 경보: 황사로 말미암아 1시
골의 사막화를 억제하고, 황사의 피해국인 우리나라와 일본이 상호 협력하는 체제를 간 평균 미세 먼지(PM10)의 농도

갖추어 황사 발생과 이동 경로에 대한 조기 감시 체제와 경보 체계를 강화하고, 방풍 가 800㎍/㎥ 이상이고, 이러한 상
황이 2시간 이상 지속할 것으로
림 조성과 같은 사막의 녹지화 정책을 펼쳐 나가야 한다. 예상될 때 발령한다.

3. 자연환경 보전 269






공업일반_4단원 김영수 0426.indd 269 2017-08-30 오후 2:33:37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