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9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269
(2) 지구 온난화
지구 온난화란 대기 중의 수증기와 온실 가스, 오존 등이 지표에서 우주로 방출해 화석 연료
인간이 사용하는 여러 가지 에너지
야 하는 열의 일부를 흡수하여 지표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현상을 말한다. 자원들 중 한 가지 형태로, 오래 전
지구상에 서식했던 유기체의 잔존
1 지구 온난화의 원인과 영향 물로 인하여 생성된 에너지 자원을
말한다. 화석 연료의 종류에는 천연
지구 온난화의 주범은 이산화 탄소로 석유나 석탄 같은 화석 연료가 연소될 때 가 가스, 석유, 석탄, 타르 샌드 (또 오
일 샌드)가 있다.
장 많이 발생한다. 또한 메테인이나 프레온 가스 등도 지구 온난화의 원인으로 작용
하고 있다.
일부는
일부는
인간 활동에 우주로 반사되어 태양
의한 온실가스 다시
빠져 나감
우주로
돌아감. [그림 Ⅳ-43] 석탄
지구로
TIP
들어 오는
태양열
부터의
복사
일부는 복사 에너지 온실 효과
에너지
반사되어 태양의 열이 지구로 들어와서 나가
다시
산업 지 못하고 순환되는 현상이다. 태양
지구로 일부는
돌아감. 에서 방출된 빛 에너지는 지구의 대
교통 지구 표면 기층을 통과하면서 일부분은 대기
도달
에 반사되어 우주에 방출되거나 대
기에 직접 흡수된다.
산림 벌채
[그림 Ⅳ-42] 온실 효과
지구 온난화는 기후 변화를 유발하여 건조 기후 지역을 증가시키고, 온대 기후 지
역을 아열대 기후로 변화시킨다. 이로 인하여 곳곳에서 폭염, 가뭄, 홍수 등의 극한
기상 현상이 발생하며, 북극 빙하 면적의 감소로 인한 해수면 상승과 어종의 변화와
물 부족, 사막화 현상, 농작물의 성장 저해, 기상 이변, 전염병 증가, 생태계 교란 등
과 같은 현상을 낳게 한다.
2 지구 온난화 개선 대책
이산화 탄소 포집 및 저장(CCS)
지구 온난화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개선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추진 기술
되어야 한다.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 탄소
의 처리 문제가 전 지구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지구 온난화 개선 대책 관련 기술이 개발되는 과정에서 이
산화 탄소 포집 및 저장(CCS) 기술
•이산화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신재생 에너지원을 개발해야 한다. 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데, 이는
•에너지 절약 및 에너지 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 화석 연료 사용으로 발생하는 이산화
• 이산화 탄소를 대량으로 발생시키는 발전소나 제철소 등에 경제적인 이산화 탄소 포집 탄소를 포집하여 저장하거나 플라스
및 저장(CCS) 기술을 적용하여 이산화 탄소 발생을 경감시켜야 한다. 틱 등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는 기술
이다.
3. 자연환경 보전 267
공업일반_4단원 김영수 0426.indd 267 2017-08-30 오후 2:3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