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2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272









(5) 산성비

산성비는 수소 이온 농도 지수(pH)가 5.6 이하인 비, 눈, 안개 등을 말한다.


1 산성비의 원인

산성비의 가장 큰 원인은 황과 질소 산화물이다. 그중에서 산성비 원인의 84% 정
도를 차지하는 이산화 황은 무연탄이나 석유 같은 화석 연료를 연소할 때 발생한다.
질소 화합물은 자동차의 매연이나 천연가스 연소를 통해서 배출된다.


2 산성비의 영향과 예방 대책

산성비가 내리는 지역은 삼림이 황폐해지고 하천과 호수가 오염되어 물고기가 떼 촉매 변환기
자동차 배기가스의 유해 성분을 정
죽음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외부 금속 철재와 콘크리트 건축 구조물, 고고학적
화하는 장치이며, 자동차의 배기가
유물을 부식시키며 커다란 경제・문화적 손실을 야기한다. 스 속의 일산화 탄소, 탄화수소, 질
소 산화물 등의 유해 성분을 정화
산성비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원인 물질의 배출을 최대한 억제해야 하며 구체적으 하기 위해 배기 파이프 중간에 촉매
변환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로 다음과 같은 대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탈황 시설
황이 포함된 연료가 연소될 때 발생
산성비의 예방 대책 하는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장치로,
황산화물을 황산 칼슘과 같은 고체
•자동차 촉매 변환기의 효율을 높이고 저공해 차를 개발하여야 한다. 성분으로 전환시켜 대기로 배출되는
•화석 연료를 청정 연료로 대체하고 탈황 시설을 의무화해야 한다. 것을 줄인다.
•공정 개선 및 설비의 합리적인 재배치를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여야 한다.
•토양의 산성화가 진행된 지역은 탄산 칼슘을 뿌려 중성화한다.




탄산 칼슘
공장이나 자동차 매연
이산화 황, 질소 산화물, 황산화물 칼슘의 탄산염으로, 화학식은 CaCO 3 ,
상온에서 흰색의 고체이며, 이산화
탄소가 녹아 있는 물과 반응하여 중
삼림 피해 탄산 칼슘이 된다. 농업용 석회의 주
산성비
성분으로 땅이 산성화하는 것을 중
화시키는 용도의 토양 개선제로 사
생태계 피해
용된다.








어패류 감소





[그림 Ⅳ-46] 산성비의 원인과 영향



270 IV. 산업 안전과 환경 오염






공업일반_4단원 김영수 0426.indd 270 2017-08-30 오후 2:33:38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