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2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262
(3) 직업병의 원인 및 발생 요인
직업병은 근로자의 작업 환경과 조건에 따라 유해 인자가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대
다수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인간 공학적・정신적인 원인에 의해 구별되며, 직업병
발생 요인은 다음과 같다.
[표 Ⅳ -16 직업병의 원인과 발생 요인
직업병 원인 발생 요인
온도, 복사열, 소음과 진동, 유해 광선(열사병, 동상, 소음성 난청, 진동성 신경염, 백
물리적 원인
내장 등)
•납, 수은, 카드뮴, 망간, 니켈, 기타 금속 계열(중금속 중독)
화학적 원인 •벤젠, 톨루엔, 이황화 탄소, 노말헥산, 아크릴아미드(유기용제 중독)
•석면 등(진폐증, 탄광부 폐증, 규폐증, 석면폐증, 민폐증, 용접공 폐증)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 생물학적 요인(B형 간염, 쓰쓰가무시, 결핵 렙토스파라
생물학적 원인
증) 및 실내 공기 오염 기관지 질환)
인간 공학적 원인 부적절한 작업 자세, 작업의 반복성(각종 근골격계 질환)
정신적 원인 스트레스, 과로
(4) 직업병의 예방 대책
산업 현장에서 직업병을 줄이려면 질병 발생 단계에서부터 환경 관리, 보건 관리 부
문의 체계적인 관리・감독이 필요하다. 또한 각 발생 단계별로 생산 과정에서는 대체,
유해 작업 환경에서는 보호 및 감독, 생체 반응 과정에서는 청결, 정리, 정돈 등이 필요
하다. 또한 근로자의 충분한 교육 활동은 동종 직업병을 예방하는 데 큰 효과가 있다.
예방 대책 01 대체 02 보호 및 감독 03 청결, 정리, 정돈 04 교육
질병 발생 단계 생산 과정 유해 작업 환경 생체 반응 직업병
• 작업 환경 개선
• 생산 기술, 원료 등의 무해화 • 작업장의 청소와 정리 정
환경 관리 • 작업 환경 측정
• 작업 방법의 개선 및 변경 돈
• 작업장의 점검 및 보존
채용 시 신체 검사 기업주, 노동자, 보건 관리
보건 관리 위생 보호구 착용 신체 청결, 개인 위생
적성 배치 요원에 대한 교육과 계몽
[그림 Ⅳ-39] 직업병의 예방 대책과 관리·감독
260 IV. 산업 안전과 환경 오염
공업일반_4단원 김영수 0426.indd 260 2017-08-30 오후 2:3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