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9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259









2 물리적 유해 요인과 예방 대책

근로자들은 근무 과정에서 소음, 진동, 조명 등의 물리적 유해 요인으로부터 정신

적·육체적 악영향을 받으므로, 이를 예방하고 차단해야 한다.

소음성 난청
물리적 유해 요인 예방 대책
괴롭고 원치 않는 큰 소리를 소음이
라 하는데 이러한 소음에 의해서 발
•소음 발생원 차단(저음 차량 개발)
심장병, 소화 장애, 스트레스 증가, • 소음의 전달 경로 차단(이중창, 이중 유리, 생하는 감음 신경성 난청을 소음성
소음 주의 집중력 방해, 수면 방행, 소음성 방음벽, 흡음재 설치 등) 난청이라고 한다. 소리를 감지하는
난청, 불쾌감 유발 기관, 즉 달팽이관이 손상된 경우이
•소음의 방어(귀마개, 귀덮개)
며, 외유모 세포가 주로 손상받게
된다.
•충격 완충 장치 설치
혈액 장애, 근육통, 관절통, 관절 운
진동 •진동 흡수 장갑 착용
동 장애 등
•진동 경감 공구 설계
• 조명 부족(피로, 시력 감퇴, 작업 능 •조명 기구의 정기적인 청소
률 감소, 불량품 증가) • 인공 조명의 경우 눈부심이나 빛의 반사 등
조명
• 조명 과다(근력 장애, 시야 협착, 방지
두통 유발) •간접 조명 채택 등

[그림 Ⅳ-35] 물리적 유해 요인과 예방 대책


3 생물학적 유해 요인과 예방 대책

작업 환경 유해 인자인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알레르기 등은 각종 질병을 유
발하거나 이상 증상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각 유해 요인들의 크기 범위를 보면 꽃가루는 10~100㎛, 곰팡이(포자)는 1~50㎛,

박테리아는 0.5~5㎛, 바이러스는 0.01~0.5㎛ 범위에 들어간다. 또한 1㎛ 이하의 극미
세 분진(나노 입자)에 대한 건강 위해성 평가가 활발히 진행됨에 따라 이 범위에 해
당되는 부유 미생물이 호흡기계 질환 등을 유발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생물학적 유해 요인 예방 대책


감염성 질환, 과민성 질환, 박테
박테리아 리아 감염, 진균류 감염, 감기, •청결 유지 및 소독
바이러스
결핵 등

피부 호흡기 자극, 식중독, 암 •건조 기간 확보 및 환기, 통풍 필요
곰팡이 유발, 알레르기, 결막염, 호흡기 •수분 흡수 방지
질환 등 •방균제 시공

• 접촉 또는 노출을 할 때 과민 반응을 일으
재채기, 콧물, 코막힘 등의 코
키는 항원이 무엇인지 파악
알레르기 이상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 아
• 일상생활 중 가능한 부딪치지 않게 노력하
토피 피부염 등
는 회피 요법
[그림 Ⅳ-36] 생물학적 유해 요인과 예방 대책


2. 공해와 환경 오염 257






공업일반_4단원 김영수 0426.indd 257 2017-08-30 오후 2:33:30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