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4 고등학교 정보통신 교과서
P. 184
2 문서 작성 언어
플랫폼(Platform) 멀티미디어로 제작된 콘텐츠들은 컴퓨터 간에 플랫폼이 다르므로 이용 시 제약이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들을 돌 따른다. 국제 표준 단체들은 멀티미디어 문서에 관한 국제 표준을 정하여 사용자가
리는 데 쓰이는 하드웨어와 소프트
웨어의 결합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1) SGML
SGML(Standard Generalized SGML은 문서용 마크업 언어를 정의하기 위한 메타 언어이다.
Markup Language)
서로 다른 시스템들 사이에 정보의 손실 없이 효율적으로 전송, 저장, 자동 처리하
기능이 복잡하여 널리 쓰이지는 않
지만 이식성이 좋고, 다른 매체에 기 위한 ISO 문서 처리 표준이다.
쉽게 다시 제작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이 표준은 출판 환경에 적합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크업(Markup)
문서 처리를 지원하기 위해 문서에 (2) HTML
추가되는 정보
HTML은 월드 와이드 웹에서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만들 때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메타 언어
어떤 언어를 기술하거나 분석하는 언어이다.
데 쓰는 말 ( 영어 문법을 한국어 특히 하이퍼텍스트를 강조하여 만들어진 언어로, 보통 웹 페이지를 작성할 때 사
로 설명할 때 쓰는 한국말을 뜻함.)
용하며 아스키 코드로 된 일반적인 텍스트로 구성되어 있다.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명령어는 태그(tag)라고 하는데 꺾 (3) XML
쇠 괄호(< >)를 사용하여 나타냄.
XML은 다른 특수 목적의 마크업 언어를 만드는 용도로 권장되는 다목적 마크업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언어이다.
기업 간 전자 상거래(B2B)의 문서
양식으로 쓰이고 있으며, 소규모의 HTML의 확장 언어격인 XML은 홈페이지 구축, 검색 기능 등을 향상시키고, 클라이
데이터베이스를 대체하는 데 쓰이기 언트 시스템의 복잡한 데이터 처리를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함.
(4) HTML5
HTML5(Hypertext Markup HTML5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브라우저에서 쉽고 용이하게 볼 수 있게 하는 것을
Language5)
웹 문서를 만들기 위한 월드 와이드 목적으로 하는 마크업 언어이다.
웹의 핵심 마크업 언어로, 음악, 동 액티브 X를 설치하지 않아도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플래시나 실버라이트, 자바
영상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음.
FX 없이도 화려한 그래픽 효과를 낼 수 있다.
하이퍼텍스트와 하이퍼미디어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가?
하이퍼미디어 정보는 이용자가 정보를 탐색할 때 어떤 제목에서 관련 제목으로 뛰어넘어 갈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항행(navigation)’이라는 제목에는 천문학, 지리학, 조류의 이동, 위성, 레이더와의 연결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된 정보가
주로 문자 정보로 되어 있으면 하이퍼텍스트이고, 음악·영상·애니메이션 또는 다른 요소가 포함되어 있으면 하이퍼미디어가 된다.
182 Ⅳ. 정보 통신 응용
정보통신 3차제출본.indb 182 2017-09-06 오후 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