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7 고등학교 정보통신 교과서
P. 187









1 정보의 디지털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살펴보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내부적으로 인식이 가능하도록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정보를 저장하고 목적에 맞게 가공하여 원

하는 곳으로 전송해 주어야 한다.


1 아날로그 신호


아날로그 신호는 데이터의 연속적인 물리량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파동의 모양과 아날로그 
같은 형태를 갖춘 정보이며 세기나 강도가 연속적으로 변하는 신호로서, 사인파와

같이 연속적인 신호이다. 사람의 음성, 음악의 파형, 온도계, 압력계의 센서를 통해
수집된 정보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음성이나 영상과 같은 데이터는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아날로그 신호

이지만 컴퓨터에서는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를 처리한다.
아날로그 신호
신호 값
2 디지털 신호

시간
디지트(digit)는 사람의 손가락이나 동물의 발가락이라는 의미에서 유래한 말이며,
디지털 신호는 데이터나 물리적인 양을 0과 1이라는 2진 부호의 숫자로 표현한다.
디지털 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한 자리씩 끊어서 다루는 방식이라 할 수 있으며, 애매모호한
점이 없고,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 디지털 양에 대한 각종 연산을
담당하는 것이 바로 컴퓨터이다.



아날로그 디지털
디지털 신호

입력 데이터 전압, 저항, 온도 등 숫자나 문자 신호 값


신호 형태 연속적 불연속적
0 시간
사용 회로 증폭 회로 논리 회로

기억 기능 없다 있다


출력 데이터 곡선, 그래프 숫자나 문자


그림 Ⅳ-3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의 변환

2. 데이터의 표현과 압축 185






정보통신 3차제출본.indb 185 2017-09-06 오후 5:01:23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