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8 고등학교 정보통신 교과서
P. 188









3 아날로그와 디지털 신호의 변환


AD 변환기(Analog to Digital 아날로그 신호는 파형으로 표현되는 연속적인 값이다. 이 신호를 컴퓨터에서 활용
converter)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디지털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연속 변화량의 아날로그 신호를 받
아 이산적으로 부호화된 신호로 변 연속적인 아날로그 신호를 부호화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를 아날로그 디
환시키는 장치를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DC)라고 함. 지털 변환기(A/D 변환기)라고 한다.

DA 변환기(Digital to Analog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는 온도, 압력, 음성, 영상 신호, 전압 등 연속적으로 측정
converter)
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디지털 신호를 입력하여 이를 연
속적인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 이러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의 역할을 도식화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는 장치를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
(DAC)라고 함.

아날로그 형태 디지털 형태 아날로그 형태
ADC DAC
10110010..
마이크 스피커
디지털 신호


송신 측 수신측

표 양 부 재 복 재
아날로그 신호 아날로그 신호
본 자 호 전송로 호 구
화 화 화 생 화 성
ADC DAC

그림 Ⅳ-4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의 역할


이와 같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표본화(Sampling) 신호의 고품질화 다양한 신호 처리 수행
1초 동안에 몇 번 표본을 만들 것인
디지털 신호의 오류 정정 기능을 수 디지털 신호는 산술적인 데이터 처리
지를 결정하는 것이며, CD 음질의
행함으로써 전송 과정에서 발생할 가 가능하므로 아날로그 신호 처리
경우는 44.1[kHz] 즉 44,100개를
샘플링함. 수 있는 오류를 정정하여 신호의 변 방식으로는 불가능한 일을 간단하게
형을 방지할 수 있다. 처리할 수 있다.
양자화(Quantizing)
샘플링한 값을 몇 단계로 표현할 것 아날로그 신호를
인지를 결정하는 단계이며, CD 음
질의 경우는 16비트, 즉 65,536단 디지털 신호로
계로 값을 구분하여 정함. 변환하는 이유
부호화(Encoding)
집적화 가능 프로그래밍 가능
디지털화의 최종 단계로 양자화된
값을 2진수인 디지털로 변환하는 반도체 집적 기술의 발달로 고집적 동일한 회로의 하드웨어 구성에서
과정 화가 가능하게 되어 시스템을 소형 소프트웨어, 즉 프로그램의 변경만으
으로 만들 수 있다. 로 다양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
환하는 데에는 표본화, 양자화, 부호
화의 세 가지 과정을 거쳐야 한다.



186 Ⅳ. 정보 통신 응용





정보통신 3차제출본.indb 186 2017-09-06 오후 5:01:23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