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1 고등학교 정보통신 교과서
P. 191









(2) 코드 체계

초기 코드들은 컴퓨터에서 영문자를 지원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나 점차 여러 나라 코드(Code)
컴퓨터에서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의 언어를 표현하는 코드가 개발되면서 코드 체계가 다양해졌다. 기호 체계

① 영문 코드

BCD 코드는 2진수로 표현하는 가장 기본 코드로, ‘8421 코드’라고도 한다. 6비트 BCD 코드(binary-coded
decimal code)
로 구성되어 있어 총 64종류의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2진화 10진 코드라고도 하며 10진
법의 각 자리를 4비트의 2진 부호
아스키(ASCII) 코드는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개발한 코드로, 현재 컴퓨터에서 가장
로 표현하는 부호
많이 쓰이고 있다. 7비트로 구성되어 총 128종류의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비트(bit)
정보 표현의 최소 단위로 “0”과 “1”
두 개의 값으로 표시하며, 8비트를
1바이트(byte)라 함.
ASCII(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코드
아스키는 문자, 숫자, 구두점 및 기
타 일부 특수 문자에 수치를 부여하
는 부호











그림 Ⅳ-5 아스키 코드표


② 한글 코드
한글 완성형 코드는 완성된 한글 한 글자당 2바이트 크기의 코드를 부여하는 방식 한글 코드
으로, 한글 2,300자와 한자 4,888자만 표현할 수 있다. 글자 수 표현에 제한이 있으

나 국가 표준 KS-5601로 지정되어 있다.
한글 조합형 코드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에 코드 값을 부여한 후 초성·중성·종성

의 순서에 따라 코드로 표현하는 방식이다. 조합형은 한글이 가지는 특성을 모두 살
리는 동시에 컴퓨터의 논리성에도 부합되는 코드 체계이다. 가장 큰 장점은 현재 사
유니코드(Unicode)
용되는 모든 한글 글자를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코드의 1문자 당 영어는 7비트, 비
영어는 8비트, 한글이나 일본어는
③ 유니코드 16비트의 값을 가짐. 최대 문자 수
는 65,536자임.
영어는 모든 문자를 1바이트로 표현할 수 있다. 그러나 한글, 한자 등은 영어와 문
자 구조가 달라서 1바이트 안에 모든 문자를 표현할 수 없다.

유니코드는 전 세계 모든 언어를 통일된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제안된 2바이
트 코드 규약이다.


2. 데이터의 표현과 압축 189






정보통신 3차제출본.indb 189 2017-09-06 오후 5:01:24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