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4 고등학교 정보통신 교과서
P. 194
③ 비트맵 방식과 벡터 방식
비트맵(Bitmap)과 벡터(Vector) 컴퓨터에서 이미지 정보를 어떤 방식으로 표현하느냐에 따라 비트맵과 벡터 방식
으로 구분된다.
표 Ⅳ-4 비트맵 방식과 벡터 방식의 특징
비트맵 방식 벡터 방식
비트맵은 래스터 그래픽스(점 방
식)라고 한다.
픽셀의 집합으로 하나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식이다. 선, 원, 다각형과 같이 벡터에 의해 처리되는 이미지를 말
해상도를 결정할 때 너무 높은 해상도를 사용하면 파일 한다. 점과 모서리 곡선을 통해 외곽선을 만들고, 그 내
크기가 커지고, 낮은 해상도를 사용하면 이미지가 깨져 부에 색상이나 패턴을 적용시켜 표현한다. 이미지 크기는
보인다. 비트맵에 비해 작고 이미지의 질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확대나 회전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조작할 수 있다.
4 동영상 정보의 표현
잔상 효과
잔상효과란 영상이 사람의 눈앞에 동영상은 정지 영상 하나하나를 나타내는 프레임을 1초에 30프레임 내외의 속도
실제로 머문 시간보다 오랜 시간동
안 남아 있는 심리학적 현상으로, 로 보여 주면 잔상 효과에 의해서 정지 영상이 마치 움직이는 모습으로 보이게 되는
영상이 사라진 뒤에도 사람의 눈이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그 영상을 약 10분의 1초 동안 유지
하여 기억하는 특성
• 정지된 이미지를 초당 12장~30 (1) 프레임과 프레임률
장의 속도로 보여 주면 자연스러
운 움직임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영화, 비디오, 애니메이션 등에서 완성된 영상을 구성하는 정지된 이미지 한장 한
영화나 방송 등에서 이러한 기법
을 이용하여 동영상 제작 장을 프레임이라고 한다. 각각의 프레임은 모니터에 아주 짧은 순간 비춰지고 즉시
• 가장 자연스러운 움직임은 초당
24프레임에서 얻을 수 있다. 잔 다음 프레임으로 바뀐다. 이렇게 1초 동안 보여 주는 프레임의 수를 초당 프레임 수
상효과를 주기 위해서는 보통 1
초에 25~30 프레임 이상이 필요 또는 프레임률이라고 한다.
하나, 부드러운 표현을 위해서 1
초에 60~120 프레임을 표시하
기도 한다.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때 초당 15~18 프레임으로 구성
하기도 함.
영화 필름 한 장을 말하며 일명 콤마(comma)라고도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화면 하나의 데
▲ 프레임(Frame) 이터를 표시하는 속도를 말한다.
▲ 프레임률(Frame rate)
(2) 정지 영상과 동영상
정지 영상은 시간에 따라 변화가 없는 하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영상으로, 그래
픽과 이미지가 이에 해당하며 데이터 용량이 적다.
동영상은 단위 시간당 연속되는 프레임의 집합으로, 영화, 비디오, 애니메이션 등이
이에 해당한다.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가지기 때문에 압축 기법이 연구되고 있다.
192 Ⅳ. 정보 통신 응용
정보통신 3차제출본.indb 192 2017-09-06 오후 5: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