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 고등학교 정보통신 교과서
P. 27
3 통신 프로토콜의 기능
통신 프로토콜은 송신 측에서 데이터를 수신 측에 전달하는 절차를 나타낸 것으 단편화의 필요성
• 네트워크상에서 수신할 수 있는
로 다음과 같은 기능이 있다. 데이터 크기의 제한
• PDU 크기가 작을수록 오류 제어
(1) 단편화와 결합 의 효율성이 높고 수신 측에서의
버퍼 감소
• PDU 개수가 증가하면 처리 시간
단편화란 송신 측에서 데이터 전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큰 데이터 블록을 작 증가
은 블록으로 자르는 것을 말한다. 즉, 데이터를 단편화하여 전송한다.
PDU(Protocol Data Unit)
수신 측에서 단편화된 블록 단위로 전송된 데이터를 순서가 틀리지 않도록 재구성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작은 블
록으로 나눈 것
하여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하는 것을 결합이라고 한다.
송신자 수신자
프로토콜 단편화 프로토콜 결합
개체 개체
Data Data Data Data
1 2 3 1 2 3
PDU(데이터 블록) PDU(데이터 블록)
그림 Ⅰ-9 단편화와 결합 과정
키
각
생 우 기 단편화와 결합 사례
용량이 큰 데이터를 단편화하여 전송하고자 할 때에는 데이터 순서에 맞게 결합하여 정보가 왜곡되지 않도록 전송하여야
한다. ※ 프로토콜의 최대 전송 단위는 MTU(Maximum Transmission Unit)이다.
■ 단편화와 결합: 용량이 큰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때 데이터를 블록(PDU)으로 분할하여 전송한다.
송신 측 한 번에 보낼 수 있는
송신 측
3,000byte
데이터 용량은
정 보 통 신 1,500byte(MTU)이다.
보
신
통
정
1 시퀀스 넘버 수신 측 그 이상이면 1,500byte 단위로
수신 측
나누어 전송(PDU)하고,
1 2
정 정 데이터를 다 받고 나면
정
정
다시 결합(재조합)한다.
PDU 넘버
■주소 지정: 송신 측에서 수신 측에 보낼 데이터 주소를 지정한다.
■ 순서 지정: 데이터 블록을 전송할 때, 데이터를 순서에 맞게 전송하고, 오류 제어 및 흐름 제어를 위해서 순서를 지정한다.
송신 측 (순서 지정 ×) 수신 측
송신 측
수신 측
정 보 통 신 정 통 신 보
보
신
통
정
통
신
보
정
중간에 통신이 원활하지
못하여 데이터 순서가 바뀜. 수신 측 정보는 왜곡되어서는
수신 측
안 된다(무결성).
송신 측 (순서 지정 ◦, 시퀀스 넘버 부여) 1 1 정 3 3 통 4 4 신 2 2 보
송신 측
신
보
통
정
1 1 정 2 2 보 3 3 통 4 4 신
정
신
통
보
3 3
2 2
정 정 보 통 4 4 신
1 1
통
보
신
2. 통신 프로토콜과 OSI 참조 모델 25
정보통신 3차제출본.indb 25 2017-09-06 오후 4:2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