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1 고등학교 정보통신 교과서
P. 31
3 OSI 7계층 상호 간 데이터 전송
OSI 7계층은 각각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서로 다른 7개의 계층으로 구성하며, 최 헤더(Header)
• 데이터가 전달될 주소와 순서 등이
상위 계층인 응용 계층에서 하위 계층으로 순차적으로 전송된다. 물리 계층과 응용 기록되며, 대용량 전송에 효과적.
계층을 제외한 나머지 계층에서는 데이터의 시작 부분과 끝 부분에 헤더나 트레일러 • 텍스트를 분리하는 것은 보안 전
송에 유리하기 때문임.
형태로 정보를 추가한다. • 정보 → ㅈ(1)ㅓ(2)ㅇ(3)ㅂ
(4) ㅗ(5)
(1) 데이터 전송 원리 트레일러(Trailer)
• 데이터에 대한 에러 정보가 기록
응용 계층의 데이터는 하위 계층인 표현 계층에 전송되고, 표현 계층은 이 데이터 되며, 정보의 에러 여부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음.
에 표현 계층과 관련된 헤더를 추가한 후 세션 계층에 전송한다. • 트레일러가 없을 경우, 하나하나
확인하고 마지막에 에러 여부를
이러한 방식으로 하위 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까지 전송되며, 헤더와 트레일러가
확인하므로 비효율적임.
추가된 데이터는 물리 계층에서 수신 측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는 전자기적 신호로
변환된다. 변환된 데이터가 수신 측의 물리 계층으로 전송되면 디지털 형태로 복원
된다. 수신된 데이터는 상위 계층에 전송되면서 각 계층은 송신 측 계층에서 추가된
자신의 헤더와 트레일러를 제거한 후 각 계층에서 해야 할 기능을 수행한다. 최종적 데이터 전송과 패킷
• 패킷은 데이터 전송에서 사용되
으로 응용 계층에 데이터가 전송되면 데이터를 적절한 형태로 변환하여 수신자에게
는 데이터의 묶음.
전송한다. •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전송하지 않고, 전
송할 데이터를 적당한 크기로 나
송신 측 흐름 데이터 형식 데이터 형식 수신 측 흐름 누어 패킷의 형태로 구성한 다
음, 패킷들을 하나씩 보내는 방법
L7 응용 계층 L7 data L7 data 응용 계층 L7 사용
• 각각의 패킷은 헤더와 데이터, 트
L6 표현 계층 L7 data H6 L7 data H6 표현 계층 L6
레일러로 이루어져 있는데, 헤
L5 세션 계층 L6 data H5 L6 data H5 세션 계층 L5 더에는 데이터가 전달될 주소와
순서 및 제어 정보 등이 기록되
L4 전송 계층 L5 data H4 L5 data H4 전송 계층 L4
고, 트레일러에는 에러 정보가 기
L3 네트워크 계층 L4data H3 네트워크 계층 L4data H3 네트워크 계층 L3 록됨.
• 5~7 계층은 데이터, 4계층은 세
L2 데이터 링크 계층 T2 L3 data H2 데이터 링크 계층 T2 L3 data H2 데이터 링크 계층 L2 그먼트, 3계층은 패킷, 2계층은
L1 물리 계층 1010001...00010 물리 계층 1010001...00010 물리 계층 L1 프레임, 1계층은 비트라고 함.
• 보통 한 패킷은 1,024비트 데이
통신 경로 통신 경로
송신 측 시스템 중계기(교환기) 수신 측 시스템 터를 담을 수 있음.
(통신 매체) (통신 매체)
그림 Ⅰ-15 OSI 7계층 프로토콜에서의 데이터 전송 원리
(2) 캡슐화와 캡슐 해제 데이터 A
정보
송신 측에 있는 최하위 계층의 데이터는 원래의 데이터에 여러 개의 헤
더가 씌워진 형태이며 이러한 과정을 ‘캡슐화’라고 한다. 수신 측 최하위 정보 1
정보 2 패킷(1)
계층에서의 데이터는 각 계층의 헤더에 해당되는 부분을 벗겨내며 최상위
정보 3 패킷(2)
계층으로 전달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캡슐 해제’라 정보 n 패킷(3)
고 한다. 패킷(n) 헤더부
2. 통신 프로토콜과 OSI 참조 모델 29
정보통신 3차제출본.indb 29 2017-09-06 오후 4:2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