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9 고등학교 정보통신 교과서
P. 29









④ 순서 제어

순서 제어(sequencing control)는 전송되는 데이터 블록에 전송 순서를 부여하는 오류 수정 방식
중간에 오류나 변조가 발생하면 스
기능으로, 연결 위주의 데이터 전송 방식(가상 회선)에만 사용한다. 송신 데이터들이 스로 오류를 수정한다. 이 과정에서
순차적으로 전송되도록 하여 흐름 제어 및 오류 제어를 용이하게 한다. 잠깐 동안 멈출 수가 있음.
자동 반복 요청 방식
(4) 동기화 중오류 발생 시 수신측은 오류 발
생을 송신측에 통보하며, 송신측은
동기화(synchronization)는 두 통신 개체 간의 시작, 종료, 검사 등의 타이밍을 정확 오류 발생 블록을 재전송하는 모든
절차
히 맞추는 기법을 말한다.
동기화 전송
송수신 측 사이에 동기화가 되지 않으면 데이터의 정확한 송수신이 불가능하므로
• 문자 단위가 아닌 미리 정해진 수
정확한 동기화를 이루어야 한다. 만큼의 문자열을 한 묶음으로 만
들어서 일시에 전송하는 방식
• 데이터와는 별도로 송신 측과 수
(5) 주소 지정 신 측이 하나의 기준 클록으로 동
기 신호를 맞추어 동작함.
주소 지정(addressing)은 데이터가 목적지까지 정확하게 전송될 수 있도록 목적지
이름, 주소, 경로를 부여하는 것이다.

목적지 이름은 전송할 데이터가 가리키는 곳, 주소는 목적지의 위치, 경로는 목적
지에 도착할 수 있는 방법이다.

(6) 다중화

다중화(multiplexing) 기법은 하나의 통신로를 여러 개로 나누거나 여러 개의 회선을

하나의 통신로로 변환시켜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사용하게 한다.
다중화 방식으로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분할 다중화,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 코드 주파수 분할 다중화
(FDM, Frequency Division
분할 다중화, 파장 분할 다중화 등이 있다. Multiplexing)
전송 매체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
으로 구분되는 채널로 분할하여 각
데이터 통신 다중화 장치(multiplexer) 각의 정보를 해당 주파수 대역의 전
데이터 통신
송파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방식
다중 통신 시분할 다중화
회선 (TDM, Time Division
전화 Multiplexing)
전화 PBX 복수의 데이터나 디지털화한 음성
을 각각 일정한 시간 슬롯으로 분할
하여 전송함으로써 하나의 회선을
FAX
FAX 복수의 채널로 다중화하는 방식
그림 Ⅰ-13 다중화 기법



컴퓨터 기종이나 통신 방식이 달라도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가?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는 반드시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프로토콜이 없을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이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또한 컴퓨터 기종이 다르더라도 통신 방식이 같으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지만, 통신 방식이 다르면 데이터 전송
이 불가능하므로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야 한다.


2. 통신 프로토콜과 OSI 참조 모델 27






정보통신 3차제출본.indb 27 2017-09-06 오후 4:22:52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